요즘 추천하시는 SSD 는 어디 제품인가요?
제가 컴퓨터 맞출 때만하더라도 마이크론이 좋다해서, 지금도 견적 뽑아줄때 마이크론쪽 추천 많이 하는 편인데요,
오랜만에 컴퓨터 견적으로 마이크론 넣고 뽑았더니 요즘 마이크론이 안좋다, 차라리 샌디스크를 넣고 만다 이러더라고요..
샌디스크가 가격 말고는 강점이 없다로 알고있었고, 인텔은 프리징이다 뭔가 말 많이 나와서 지양하는 추세로 알고있었는데,
제가 SSD쪽에 관심을 끄고 최근 VGA쪽에만 신경을 써서 그런지, 모르는 것이 너무 많더라고요..
혹시 아는 정보 있으시면 조금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015-08-04 16:37 출석부 > 당신은 사랑받기위해 ...
- 2015-07-12 16:14 출석부 > 좋은 하루♡
- 2015-07-01 22:19 여러 이야기 > 여러가지 의미로 <심쿵>인 사진이죠. *1
- 2015-07-01 11:56 여러 이야기 > 요즘 추천하시는 SSD 는 어디 제품인가요? *8
- 2015-06-30 17:18 필테 등록소 > 늦은 에이수스 오버클럭 페스티벌 후기입니다. *2
Who's 얍군

-
-
오홍홍홍 감사합니다.
프리징 이슈가 인텔이 아니라 삼성이였죠. 제가 햇갈렸던것같네요. -
저는 솔직히 그냥 삼성꺼 추천해드리고 싶네요 ㅎㅎㅎ
-
아직도 인텔 스스디 사용자 분들은 도도하시죠 ㅎㅎㅎ; 저는 마이크론 M550 쓰고 있습니다. 마이크론도 M500은 속도가 딸리고, MX100은 프리징 이슈가 있었죠. M550은 가성비가 썩 좋은 편이 아니라 까인것도 있구요. MX200, BX200은 저도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이 분야 점유율 이나 적층 V-NAND, 집적화등을 이용한 기술력 자체는 삼성이 좋지만 840에보 사태 때문에(수명이 일정시간 지나면 속도저하 발생) 이미지를 많이 깎아먹었습니다. 그래도 A/S만큼은 정말 확실하니 브랜드빨로 먹고 들어가는 건 있지요. 사실 요즘에 스스디 시장 자체가 성능이 상향평준화 되어서(사타 3 최고속도에 근접했죠.) 안정성이나 사용 리뷰, 수명 등으로 갈리는 것 같습니다.
-
전 제가 쓰는건 인텔쓰고
서브컴은 마이크론 씁니다
삼성은 사건도 있었고해서 그닥 좋다고 생각하지는 않네요
-
솔직히 SSD 속도차는 체감하기 힘들구요.
안정성만 보장된다면 다른것 볼 것 없이 싼게 최고입니다.
제가 산다면 MLC에 마벨 컨트롤러만 갖춘 제품 중에 젤 싼것으로 살겁니다. -
삼성이 840이 evo건 pro 건 문제가 나타났다고 뉴스에 난 이후에는 추천을 하지 않는 분위기고
가성비는 마이크론 혹은 트렌센드가 좋다고 생각합니다
-
요즘은 상향평준화되서 웬간한 SSD 다 쓸만합니다. 그래도 인텔이 좋긴 하죠. 전 그냥 무난한 삼성을 추천하고 Sandisk나 Micron 그리고 ADATA도 쓸만하다고 봅니다. :)
마이크론에 탑재되는 컨트롤러가 마벨걸로 알고 있는데, 안정성으로 제법 검증되었기 때문에 여전히 마이크론은 괜찮습니다.
마이크론 제품 군 중 실리콘모션 컨트롤러가 탑재된 모델도 있는데 최근 리뷰안 등 SSD에 탑재되어 나오는 신흥세력(?)입니다. 가성비적으로는 좋으나 마벨만큼 검증이 되지는 않았다고 보면 될거 같은데요.
샌디스크도 마벨 컨트롤러 탑재입니다. 둘 다 딱히 차이는 미미할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 둘 다 이렇다 할 차이는 없는거 같으니, 원하는 가격대비 용량이나 AS정책 등을 보고 고르시면 될거 같습니다.
인텔과 삼성은 자체 컨트롤러를 쓰는데
원래 안정성 하면 인텔거 아닌가요? 프리징은 제품 뽑기라거나 시스템과의 문제일거 같습니다.
두 메이커 모두 가격대비 용량은 낮지만 이미 시장에서 좋은 평가를 얻고 있고요.
삼성의 경우 최근 evo제품군의 성능저하 문제 등 펌웨어에서 안정성이 의심되는 상황이긴 합니다.
pro제품군도 말 나온거 같긴 한데 현재 840 pro를 두개 쓰는 입장에선 딱히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성능도 보면 HDD VS SSD의 차이는 크지만
SSD VS SSD에서는 체감이 어렵습니다. 하이엔드 그래픽카드의 3DMARK 점수경쟁만큼이나 SSD 벤치점수놀이도 제법 있긴한데
대부분 불량이 아닌지 정도에서 체크하는 것이고...
결국 SSD 선호하는 메이커나 용량대비 가격 등을 보시고 고르시면 될 거같습니다.
마이크론, 샌디스크, 인텔, 삼성(...현재로선 좀 찝찝한 느낌이 어느정도 있긴합니다.)
플렉스터, 트랜샌드 ADATA 정도가 인지도는 가장 대중적이지 않나 싶습니다.
HDD 시장과는 달리 USB같은 메모리 시장과 같아서 많은 메이커들이 존재합니다.
인지도 높은것을 고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지요.
가격대비용량적 측면에서 보면 MLC냐 TLC냐 하는 USB메모리와 같은 그런게 있어서
삼성이나 커세어
허세어와 같은 브랜드(메이커)적 가치 등을 빼면 대부분 가격은 고만고만 합니다.커세어 SSD 가격...이게 티뮤 때문인지 커세어 자체적인 브랜드값이라 그런지...허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