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동영상 인코딩 관련 질문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유튜브 인코딩 관련 질문이 있어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궁금한 점은 어떻게하면 1080p/60프레임 영상을 유튜브에서 나오게할 수 있는지 입니다.
위에 사진이 지금까지 설정해온 인코딩 옵션 (720p/30프레임)이고, 아래 사진이 현재 제가 임의로 실험해보기위해 설정해둔 옵션인데 저렇게 하는 것이 맞는지 궁금하네요.
영상 제작 공정(?)을 말씀드리자면 쉐도우플레이로 원본 해상도 + 60프레임 인코딩을 하기때문에 다음팟으로 인코딩을 걸쳐 업로드 하고 있습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 2018-05-29 17:23 여러 이야기 > [트위치] 오랜만에 트는 트위치, 스타2 레더! *1
- 2018-04-01 19:08 여러 이야기 > [노코멘터리] 파크라이5 각 악역별 스토리 영상 정리 *2
- 2018-04-01 19:02 여러 이야기 > [노스포] 파크라이5 엔딩봤습니다. *6
- 2018-03-30 15:28 여러 이야기 > 도쿄 가볼만한곳 추천해주세요! *24
- 2018-03-26 23:33 여러 이야기 > [방금녹화] 파크라이5 한글화 첫 10분 인트로 *1
Who's 마린웨이브

아이유 데뷔 10주년!
지금처럼 아이유와 함께!
스팀 MarineWaVe → http://steamcommunity.com/profiles/76561198000369744/
친추는 언제나 환영합니다~
다만 친추 하시고 어디서 주셨는지 정도는 말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잘부탁드려요!
-
마이유님이 여러가지로 테스트해서 최적화된 설명을 알려주시져 :P
-
:P 시른데여 :P
-
쉐도우플레이로 1080p 60fps로 녹화됐다면 이 영상 그대로 유튜브에 올리면 됩니다.
또 그 영상을 인코딩을 한다면 코덱설정에서 비디오 코덱을 원본비율유지 또는 60fps로, 화면 설정에서 원본크기사용 또는 1920*1080 설정하면 됩니다.
추가로 저는 인코딩을 할때, 원본에서 손실 및 이질감을 줄이기 위해 원본과 같은 포맷의 비디오와 오디오 코덱으로 설정해서 인코딩합니다. -
저도 원본 그대로를 올리면 간편합니다만, 용량이 10기가는 항상 넘어가는지라 인코딩을 거치게 되네요.
그렇다면 지금 제가 한 방법이 맞는거군요.
맨마지막 문단 팁 감사합니다 톰엘님 (__) -
유투브의 해상도는 영상의 기본 해상도로 정해집니다. 유투브의 프레임은 720p부터 60프레임을 지원합니다. 30프레임의 원본영상을 일반적인 인코딩프로그램으로 60프레임으로 바꾸는 것은 소용이 없습니다. 쉐도우로 녹화하시는 것이면, 비트레이트만 입맛대로 조절하시고, 그대로 업로드하시면 됩니다. 비트레이트는 1080p 기준으로 최소 2~3만(20~30M)이면 좋은 화질의 영상을 업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유투브서버에서는 비트레이트를 5k로 평준화 시키지만, 그 이전에 5k로 업로드하면 좋은 화질이 나오지 않습니다. 그리고 좋은 화질을 얻으시려면 인코딩 프로그램 사용을 최대한 지양하셔야 합니다. 특히 다운샘플링(1080p->720p)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업샘플링(720p->1080p)는 모자이크가 생기거든요.
-
영상은 본문에서도 언급되어 있다시피 게임 화면 그대로 1080P녹화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비트레이트는 어떤분이 유튜브 기준 7000kpbs로 하면 가장 좋다그러셔서 그 수치를 이용하고 있는데 2만3만도 가능한 것이군요.
실기님 말씀을 정리하자면 영상이 만약 1080p 60프레임이라면, 그대로 업로드 해도 무관하다라는 말씀이시군요.
다만 그러면 유튜브 업로드 시간이 무지막지.. 할것같습니다 하하 -
확장자 mp4 비디오코덱 h.264 오디오코덱 aac lc 48khz/96khz 가 표준이랍니다. 이렇게 올리셔야 영상 처리속도가 높다네요. 섀도플 혹은 팟인코더 옵션에서 비트레이트는 20Mbps(20000kbps)정도로 맞춰주심 될거같네요. 1080p 60fps 100Mbps 영상도 올려봤는데 처리 시간만 늘고 화질이 알아서 너프되더군요
-
7000은 너무 낮은 수치였군요...
그렇다면 녹화한 원본을 기준으로 프레임과 영상은 그대로 유지하고 비트레이트만 올로 인코딩하면 될까요?
쉐도우플레이에서 유튜브로 바로 업로드하는 기능이 있다고 하는데 찾을 수가 없네요 흑 -
쉐어 베타 버전에서는 최대 4k 60fps 140Mbps 가 되더군요. 녹화는 해봤는데 나중에 유툽에도 올려보러구요
-
이렇게 하시면 됩니당! 유튜브 표준에 맞춰진 옵션이기 때문에 별도의 인코딩 작업을 최소화 한 세팅입니다.
다음팟인코더 -> 유튜브는 이 옵션보다 좋게 올리기는 힘드실 겁니다. ㅎ
-
오오 큼앙님 감사합니다.
저는 2패스로하는데 1패스도 충분한가보군요 !!
진짜감사해요 헤헤 -
60FPS로 출력하는 방법은 위에 자세히 설명해준 분이 계시니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722171?hl=ko
에 맞게 인코딩하시면 좋은 결과물로 올리실 수 있으실 겁니다. 개인적으로 VBR 1pass로 인코딩하는 것보다는 CBR에 10~15Mbps로 인코딩하여 업로드하면 괜찮은 결과물을 얻는 것 같더라고요. 사실 이런 인코딩은 MeGUI가 손에 익으면 편하고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나중에 시간 되시면 megui 한 번 써보세요~ -
오.. 천유하님 고급정보 감사합니다 ㅋㅋ
-
마이유님은 복잡한거 싫어하셔서 megui는 못쓰심 :P
-
흥 무시쩜 :(
-
유튜브는 비트레이트를 아무리 올려봤자 무용지물입니다.
유튜브 공식적인 해상도별 비트레이트 표인데, 1080P 일때 8000kbps가 최대치입니다.
(이것도 상향된거긴 합니다. 원래 4~5000Kbps 였으니..)
60FPS 영상일때는 12000Kbps정도이니, 그정도로만 설정하셔서 인코딩 하시면 됩니다.
-
사진 첨부 감사합니다.
다음팟 인코더 지원하는 정도면 충분하겠군요 ㅋ -
제가 유투브에 쉐도우플레이로 보통(22MBit)으로 녹화해서 올린 경우와 최대(130Mbit)로 녹화해서 각각 올려보고 화질 비교를 해봤는데, 후자가 미세하게 열화가 적은 느낌이 있더군요. 참고로 유투브의 1080p 60fps 영상이 가지는 비트레이트는 5000Kbps가 한계더군요. (8000K라는 얘기가 있긴 한데, 실제적으론 5000K 내에서 대부분 처리되는듯) 암튼 중요한 건 일단 양질의 원본소스인거 같습니다. 정리하면, 유투브에서 5000K로 재생한다 해서 원본을 5000K로만 녹화해서 올리면 안된다 라고 보는게 맞습니다. 스트리밍 화질은 2차 인코딩으로 인해 더 떨어지거든요.
-
헛... 정보 감사합니다 사시코님
말씀하신거 참고해서 최상의 화질을 뽑아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