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58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top39.jpg

 

first.jpg

 

게이밍 기어에서 ASUS 는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시장의 강자답게 높은 성능과 강렬한 디자인, 게이밍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ROG 시리즈를 꾸준히 출시하며 고급형 게이밍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특히 키보드나 마우스 등 게이밍 액세서리 만을 출시하는 중소 제조사와 달리 게이밍에 특화된 노트북이나 데스크탑PC와 같은 완성형 디바이스를 출시하며 더 앞서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에 리뷰를 진행 할 ROG G20CB ASUS 기술력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일반 하이엔드 게이밍PC와 같은 최고급 부품을 사용해 대부분의 3D 게임을 부드럽게 즐길 수 있으면서도 슬림형PC와 같은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높은 공간 활용성을 자랑한다.

 

여기에 저소음 설계로 펜소음의 거북함 없이 PC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저들의 눈길을 한번에 사로잡을 만큼 독특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를 줄였음에도 일반 게이밍PC와 같은 퍼포먼스를 구현할 수 있을지 무척 궁금하다. 리뷰를 통해 디자인 및 특징을 살펴보고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분석해 보도록 하자. @ 테스트용 모델은 순수한 샘플로 실 판매 제품과는 스펙이 약간 다르다. 이점 참고하기 바란다.

 

bar1.jpg

 

top77.jpg

 

☆ 본제품은 테스트 용 기기로 실제 판매 제품과 스펙의 차이가 있습니다.

 

bar2.jpg

 

top24.jpg

 

풀KIT 의 모습으로 본체를 비롯해 키보드와 마우스, 퀵 매뉴얼 등이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전원 어댑터 및 케이블이 포함된 것이 눈에 띈다. (파워 서플라이가 내장되지 않은 제품으로 두 개의 전원을 사용한다.)

 

top25.jpg

 

104 x 340 x 358 mm 의 크기와 6.38Kg 의 무게로 경쟁 게이밍PC 는 물론 일반적인 데스크탑PC보다 작고 가벼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게이밍PC 다운 높은 퍼포먼스를 구현 하면서도 공간 활용성 까지 고려한 모델로 일반적인 슬림PC와 같이 책상 등에 쉽게 올려두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기의 디자인은 누가봐도 게이밍PC라는 것을 알 수 있을 만큼 특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4년 굿 디자인 어워드, 2015 iF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 모델로 중후한 블랙 컬러와 강렬한 레드 컬러가 돋보이며 탑을 연상시키는 특별한 모양이 돋보인다.

 

top32.jpg

top31.jpg

 

단독 사진 만으로는 크기를 가늠하기 힘들수 있어 일반 데스크탑PC와 크기를 비교해 보았다. 높은 하드웨어 스펙으로 구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크기는 훨씬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op18.jpg

top26.jpg

 

기기 전면부의 모습으로 전원 버튼이 설치되어 있고 최고급형 게이밍PC 답게 블루레이 플레이어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op27.jpg

 

전면 하단부의 모습으로 2개의 USB 3.0 단자를 지원하고 있으며 (번개 마크가 그려진 단자는 상시전원을 지원해 PC가 꺼진 상태에서도 스마트폰 등의 충전이 가능하다.) 하단에는 마이크와 헤드폰 연결을 위한 오디오 단자를 지원하고 있다.

 

top76.jpg

top65.jpg

 

G20CB 는 전면부에 800만 컬러의 백라이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분위기에 맞쳐 컬러가 변경되는 라이팅 이팩트를 지원한다. 또한 전용 S/W를 통해 원하는 대로 컬러를 설정할 수 있다. (음악이나 게임, 동영상의 사운드에 따라 조명이 움직이는 사운드 이펙트 기능도 제공해 환상적인 조명 효과를 경험할 수 있다.)

 

top28.jpg

 

기기 좌우측면의 모습으로 일반 데스크탑 PC와 달리 통풍구가 설치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op9.jpg

top8.jpg

 

기기 상단부의 모습으로 통풍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반PC와 달리 히드싱크가 노출된 것이 눈에 띈다. 이 제품은 자연적인 대류 현상을 이용해 하단에서 유입된 차가운 공기가 데워져 상단으로 배출되도록 설계된 모델로 고성능 프로세서와 그래픽 카드를 탑재 했음에도 아이들 상태에서 22dB, 풀 로딩에서 45dB 의 저소음을 실현했다.

 

또한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듯 커버가 분리되어 통풍구가 히트싱크 등에 부착된 먼지를 청소기로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top7.jpg

top6.jpg

top5.jpg

 

기기 후면부의 모습으로 다양한 단자부가 제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단에는 총 6개의 USB 단자가 설치되어 있으며 (USB 3.1, USB 3.0, USB 2.0 단자가 각각2개씩 제공된다.) 네트워크를 위한 이더넷 단자와 멀티채널 스피커 연결을 위한 오디오 단자, 도난 방지를 위한 켄싱턴 락 홀 등이 지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단에는 내장 그래픽 사용을 위한 HDMI 단자를 비롯해 2개의 전원 단자가 설치되어 있고 GTX980 에는 3개의 DP 단자와 1개의 HDMI, DL-DVI 단자 지원으로 멀티 모니터 사용도 가능하다.

 

top4.jpg

 

기기 바닥면의 모습으로 차가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통풍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방에 고무패드가 지원되어 미끄러짐을 미연에 방지한다. (전면과 마찬가지로 라이팅 이팩트가 설치되어 있다.)

 

top2.jpg

 

기기 내부의 모습으로 듀얼펜이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단으로 내뿜어 주며 많은 열이 발생하는 그래픽카드에도 별도의 펜이 설치되어 있다. @ 확장이 용이한 일반PC와 달리 집적도가 높아 슬롯이 제공되지만 별도 기기의 연결은 힘들다. 이점 감안하기 바란다.

 

top23.jpg

top22.jpg

 

기본 제공되는 액세서리의 모습으로 게이밍 키보드와 마우스가 지원되며 2개의 전원 어댑터를 지원하고 있다. (파워 서플라이가 장착되지 않아 2개의 전원 어댑터를 사용해야 한다. 단, 내장 그래픽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 230W 전원 어댑터 1개만 연결해도 작동한다.)

 

bar4.jpg

 

top1.jpg

 

투박한 디자인을 보여 주었던 기존의 데스크탑PC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에는 기본 제공되는 다양한 S/W 와 기능을 살펴보고 성능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top40.jpg

 

테스트를 위해 PC를 셋팅한 모습으로 본체 뿐만 아니라 키보드와 마우스에도 LED가 장착되어 환상적인 조명 효과를 경험할 수 있었다. 특히 작은 크기로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것은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sbar1.jpg

 

top67.jpg

 

시스템 등록정보의 모습으로 최상위 프로세서 인텔 i7-6700와 16GB 의 DDR4 메모리를 지원하며 GTX980 이 장착되어 대부분의 3D 게임을 풀옵션으로 즐길 수 있다. PCIe 기반의 SSD를 장착해 빠른 체감속도를 경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랜과 블루투스도 지원되어 무선 환경을 구축하는데 용이하다.

 

top66.jpg

 

ODD 의 상세스펙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블루레이 롬을 지원하며 DVD 의 경우 듀얼레이어를 포함한 대부분의 미디어가 인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sbar2.jpg

 

top64.jpg

 

최상의 게이밍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AGEIS II 유틸을 제공하고 있다. PC에 설치된 LED 설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 CPU 나 그래픽 등의 상세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으며 디자인 부분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라이팅 설정도 가능하다.

 

top63.jpg

top62.jpg

top61.jpg

top60.jpg

 

ASUS 커맨드의 실행 모습으로 스마트폰 등을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Ai Charger II를 비롯해 시스템 업데이트, 보안, 백업, 오디오 등 다양한 설정 메뉴가 제공된다.

 

top59.jpg

 

사운드에 특화된 모습을 보이는 기존 ASUS 모델들과 같이 오디오 위자드를 지원해 사용자 임의대로 사운드를 튜닝할 수 있다.

 

sbar200.jpg

 

top49.jpg

 

PC가 완전히 꺼진 상태에서 바탕화면이 나올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는데 19초가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이오스 로딩시간이 10초에 육박한다.)

 

sbar13.jpg

 

top30.jpg

 

top54.jpg

 

기본 장착된 GTX980 은 총5개의 단자부를 지원해 다중 디스플레이 사용이 가능하다. 상단의 사진은 3개의 디스플레이를 연결한 모습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테스트 에서는 QHD 와 FHD 해상도의 모니터를 사용했지만 UHD 해상도의 디스플레이도 지원해 호환성의 걱정없이 고화질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op29.jpg

top53.jpg

 

높은 성능을 구현하는 모델로 다중 모니터를 이용해 멀티테스킹을 진행 하더라도 느린 속도로 인한 답답함은 느끼지 않을 것이다. (주식투자나 전문적인 S/W 사용 등 멀티 모니터가 필수적인 유저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또한 엔비디아 제어판을 이용해 다중 디스플레이를 하나의 화면으로 만드는 스팬 설정이 가능해 현장감 넘치는 레이싱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스팬 기능을 사용하고 할 경우 동일 해상도에 동일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바란다.)

 

sbar201.jpg

 

top34.jpg

 

top58.jpg

 

PC에 장착된 USB 3.0 단자의 속도 테스트를 진행하는 모습으로 USB 2.0 과는 큰 차이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제품은 USB 3.1 단자도 제공되어 보다 빠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최근 USB 3.1 제품들이 하나둘씩 출시되고 있어 단자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top33.jpg

 

Ai Charger II를 지원해 스마트폰 충전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번개마크가 새겨진 USB 단자는 상시전원을 지원해 PC가 꺼진 상태에서도 기기를 연결해 충전할 수 있다.

 

top35.jpg

 

top57.jpg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해 다양한 액세서리를 활용할 수 있다. 상단의 사진은 스마트 폰과 헤드셋의 연결 모습으로 별다른 문제 없이 페어링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선 마우스나 스피커 등을 연결해 사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의 파일전송도 쉽게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sbar7.jpg

 

top48.jpg

 

4K 동영상을 이용해 CPU 점유율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6-7% 대의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 주었으며 웹서핑과의 멀티테스킹 시에도 20%를 넘기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화질 동영상을 감상하면서도 충분히 업무나 기타 작업이 가능한 모델이다.)

 

sbar8.jpg

 

top55.jpg

 

포토샵을 이용한 사진편집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예상대로 깔끔하게 작업할 수 있었다. 최고 스펙의 게이밍 PC로 전문적인 그래픽 및 동영상 편집 등 전문적인 용도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총 46장의 원본 사진 (총 180MB) 을 로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했는데 25 초가 소요되었다. (최고급형 게이밍 노트북이 28초 정도 소요되는 테스트 이다.)

 

sbar9.jpg

 

top52.jpg

 

4K 동영상을 이용해 인코딩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사진과 같은 옵션에서 5분 52초가 소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게이밍 노트북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프로세서와 1분 이상의 시간차를 보여 주었다.)

 

sbar10.jpg

 

top75.jpg

 

top72.jpg

 

top71.jpg

 

top70.jpg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이용해 PC의 성능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예상했던 것과 같이 일반PC와는 확연히 비교되는 높은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op74.jpg

 

top73.jpg

 

GTX980 의 3D 성능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으로 970, 960 이나 모바일 그래픽 카드와는 확연한 성능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게임을 풀옵션으로 구동할 수 있다.)

 

top69.jpg

 

top68.jpg

 

SATA 인터페이스 기반의 SSD를 사용하는 일반PC나 노트북과 달리 PCIe 인터페이스 기반의 SSD를 사용해 3-4배 정도 높은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bar12.jpg

 

top51.jpg

top45.jpg

 

AVA 와 LOL을 풀옵션으로 구동하고 있는 모습으로 (1920 x 1080 해상도, AI모드) AVA 는 131-197 프레임, LOL 은 251-313 프레임을 보여주었다. 게임을 즐기는데 불편함은 전혀 없을 것이다. (프레임이 너무높아 PC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온라인 3D 게임을 즐길 경우 프레임 제한을 설정하기 바란다.)

 

top42.jpg

top41.jpg

 

스타크래프트2를 풀옵션에서 실행하고 있는 모습으로 128-194 프레임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른 게임들과 마찬가지로 부드럽게 즐길 수 있을 것이다.

 

top44.jpg

top43.jpg

 

고성능 그래픽카드나 게이밍PC의 3D 퍼포먼스 테스트용으로 활용되는 레지던트 이블6 벤치마크를 실행한 모습으로 17091의 스코어를 보여주었다.

 

top50.jpg

 

높은 스펙을 필요로 하는 바이오쇼크 인피니티의 실행 모습으로 112-183 프레임을 보여주어 부드럽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다. (축제 장터 에서 테스트를 진행 했다.)

 

top47.jpg

top46.jpg

 

고성능이 필수적인 레이싱 게임 GRID 2의 그래픽 벤치마크를 구동한 모습으로 (그래픽 옵션 : 울트라, FHD) 평균 138 프레임을 지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bar5.jpg

 

 

bar6.jpg

 

top36.jpg

 

도입부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ASUS 의 기술력을 경험할 수 있던 제품이었다. 이정도 스펙의 제품을 만드는 제조사는 흔히 볼 수 있지만 이렇게 작은 크기로 이정도 스펙의 데스크탑PC를 출시하는 제조사는 결코 많지 않다.

 

게이밍PC 답게 최고 성능을 구현 하면서도 슬림PC와 같은 작은 크기로 공간 활용성을 높였으며 라이팅 이펙트를 적용한 환상적인 디자인 또한 기존 게이밍PC와는 차별화 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블루투스와 무선랜을 제공해 무선 환경을 구축하는 것도 어렵지 않으며 편의성을 높이는 전용 S/W 지원 또한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소음 구현을 칭찬하고 싶다. 대부분의 게이밍 기어는 3D 게임들을 즐길때 소음 때문에 신경이 쓰이곤 했는데 이 제품은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게임에서도 펜소음으로 인한 불편이 없었다. (집적도가 높은 소형PC 임에도 발열과 소음을 잡은 것은 대단한 기술력이라 할 수 있다.)

 

차별화된 성능과 디자인의 게이밍PC를 구입하고자 하는 유저들에게 적극적으로 추천하고 싶다. 뛰어난 공간 활용성과 저소음 까지 더해진 모델로 기대 이상의 만족감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김원영 기자 [email protected]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 - 노트포럼]
Copyrights ⓒ 노트포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Who's 노트포럼

profile

디지털 모바일 IT 전문 정보지, 노트포럼

▼ 펼쳐 보기
  • profile
    바이올릿 2016.03.17 10:23
    슬림케이스들은 이쁜데 정말 쿨링이 힘든점인데 쿨링까지 해소되었다고 하면 가격만 착하다면 ㅋㅋ
  • profile
    김정 2016.03.29 23:15
    로그는 역시 프리미엄같은 이미지네요 멋집니다

  1. MLC 낸드로 신뢰성 한층높인 고성능 SSD, ADATA 프리미어 프로 SP920

      PC의 속도를 높이는데 있어 SSD 는 필수적인 부품이라 할 수 있다. 물리적으로 동작하는 HDD 의 경우 프로세서나 메모리 등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반해 논리적으로 동작하는 SSD 의 경우 빠른 데이터 처리 속도를 구현...
    Date2016.03.22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659
    Read More
  2. 쿼드코어 컨트롤러 탑재한 고성능 SSD, PSS 900 ECO

        가격이나 안정성 때문에 SSD를 구입하지 못하는 시대는 지났다. 지속적인 가격 하락으로 10만원 정도만 투자해도 성능이나 용량에서 부족함 없는 제품을 구입해 사용할 수 있다. 특히 TLC 낸드 플래시가 대중화 되면서 유저들은 더 저렴한 가격에 SSD를 ...
    Date2016.03.15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558
    Read More
  3. 가성비 한층높인 게이밍 노트북, MSI GL62-6QF

        단지 외장 그래픽을 탑재했다는 이유 만으로 '게이밍 노트북' 이라 광고하는 모델들이 많아지고 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게이밍기어' 의 인기에 편승하려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답답할 때가 많다.   게이밍 노트북은 GTX 급의 그래픽 카드는 물론 ...
    Date2016.03.11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1423
    Read More
  4. 차별화된 사운드 선사하는 NFC 블루투스 스피커, 엔보우 ARMOR XL

        최근 모바일 관련 액세서리 시장이 커지면서 스피커 또한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블루투스 제품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블루투스 스피커의 경우 무선 연결이 가능한 것은 물론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환경에서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Date2016.03.09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683
    Read More
  5. 가볍지만 파워풀한 슬림 노트북, ASUS ZENBOOK UX303UB

        최근 고급형 노트북 시장에서 디자인과 휴대성이 부각되고 있다. 많은 유저들이 집이나 사무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소에서 노트북을 활용하는 것을 감안하면 당연한 흐름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되는 모델들의 경우 성능 면에서도 진일보한 ...
    Date2016.03.07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855
    Read More
  6. 타격감 극대화한 게이밍 기어, 아이락스 K60M 키보드

      게이밍 기어가 높은 성능 대비 합리적인 가격을 무기로 사용자를 늘려가고 있다. 불과 1-2년 전만해도 오랜시간 게임을 즐기는 유저들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는데 최근에는 다양한 제조사에서 다양한 스타일의 모델들을 출시해 큰 비용부담 없이 구입해 활용...
    Date2016.03.03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656
    Read More
  7. 높은 내구성 구현한 저전력 SSD, 샌디스크 X400 SSD

        HDD를 메인 스토리지로 사용했던 기존과 달리 최근 출시된 데스크탑PC 나 노트북의 경우 SSD를 메인 스토리지로 사용해 속도를 높이고 추가적으로 HDD를 설치해 부족한 저장 용량을 커버하고 있다.   가격적인 부담 때문에 SSD 사용을 꺼리던 제조사들이 ...
    Date2016.03.02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636
    Read More
  8. 압도하는 성능의 콤팩트 게이밍PC, ASUS ROG G20CB

        게이밍 기어에서 ASUS 는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시장의 강자답게 높은 성능과 강렬한 디자인, 게이밍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ROG 시리즈를 꾸준히 출시하며 고급형 게이밍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
    Date2016.02.26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580
    Read More
  9. 키스위치 교체가 자유로운 기계식 키보드, 제닉스 STORMX TITAN MARK7

        게이밍 기어의 인기가 식을 줄 모르고 있다. 대작 게임들이 꾸준히 출시되는 것과 함께 하드웨어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키보드나 마우스, 모니터 는 물론 게임을 위한 의자등 점점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이런 분위기와 맞물려 각 제조사에서는 가격이...
    Date2016.02.22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751
    Read More
  10. 최상의 가용비 구현한 보급형 SSD, 마이크론 크루셜 BX200

        SSD 대중화의 발목을 잡았던 것은 안정성과 가격대비 용량 이었다. 구형 PC나 노트북에서도 최신 제품과 같은 빠른 체감성능을 경험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몇몇 제품에서 치명적인 오류가 발생해 우려를 자아냈으며 많은 용량이 필요한 유저들의 경우 ...
    Date2016.02.19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578
    Read More
  11. 정확하게 컬러를 표현한는 고화질 프로젝터, BenQ W2000

        선택이 한정적이었던 프로젝터 시장이 대중화의 바람을 타고 다양한 스타일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비즈니스나 매장용과 같은 전통적인 프로젝터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에 최적화된 다기능 프로젝터, 휴대성과 공간 활용성을 강조한 소형 프로젝터 등...
    Date2016.02.18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578
    Read More
  12. 펜리스 설계로 소음잡은 미니PC, MSI Cubi N

        퍼포먼스로 경쟁하던 PC 시장이 사용성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어떤 용도로 PC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어 데스크탑PC 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던 예전과 달리 선택의 폭이 무척 다양해 졌다.   높은 성능을 필...
    Date2016.02.11 Category노트포럼 By노트포럼 Views96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33 Next
/ 133
CLOSE

SEARCH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