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8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출처 http://www.weekly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1605


격돌 D-10 ‘AMD 빅 나비 vs 엔비디아 암페어’
AMD RX6000과 NVIDIA RTX 3000 … 예상 대적 시나리오


20201030_005813.jpg


[2020년 11월 08일] - 한껏 물오른 AMD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프로세서로는 라이젠이 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고, 이 기세를 몰아서 오는 18일에는 라데온 그래픽카드가 시장 공략을 예고했다. 흥미로운 부분은 그간 경쟁 제품 대비 아쉬웠던 성능을 극복하며 기대감을 심어주고 있다는 점. 과거 경쟁사를 바짝 몰아세웠던 AMD의 전운이 다시 한번 더 피어오를 느낌이 짙다.

5000 시리즈 시피유 론칭의 초반 분위기는 긍정적이다. 그리고 다음 순번인 그래픽카드 라데온 RX 6000시리즈도 기대를 모른다. 더구나 AMD를 위기로 몰아넣었던 그래픽 부문 사업이 모처럼 활기를 찾는 모습이니 여느 때보다 활기차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RX 6800, 6900 계열 모두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 시리즈 상위 라인업에 준하는 모습에 랭크됐다. 이대로만 출시된다면 시장 판도를 흔들 여지는 충분하다.

 

ceo.jpg

 

AMD로서는 예나 지금이나 그래픽카드 부문은 계륵 같은 존재였다. 특출나지는 않지만 버리자니 게임기 시장에서는 확고한 입지를 다지며 주목받으니 아깝고, 그렇다고 PC 시장으로 시선을 돌리면 영 시원찮으니 투자를 늘리기에도 마뜩잖아. 그 와중에 모처럼 생기 넘치는 소식인 새로운 라데온 그래픽카드. 이를 예의 주시할 엔비디아의 속내가 궁금한데, 어떠한 전략으로 대응에 나설지 크게 두 가지 시나리오를 예상해 볼 수 있겠다.

시나리오 1 – 빅 나비가 예정된 성능대로 나온다면?
엔비디아 ‘제품 가격’ 및 ‘라인업 변경’ 카드 만질 듯


빅 나비, 라데온 RX 6000 시리즈가 출시되고 AMD가 언급한 대로 엔비디아 하이엔드 라인업에 준하는 성능이 나왔을 때 어떻게 될까? 무시할 수 없는 이변이 벌어진 것임에 자연스레 기존 전략 일부를 수정할 수밖에 없다. 크게 두 가지로 예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가격대를 조정, 다른 하나는 향후 출시 라인업 일정 조율이다. 두 가지를 동시에 수행할 가능성 또한 있다.

차세대 라데온이 이전 세대가 아닌 현세대와 경쟁하는 구도가 엔비디아 관점에서는 여러모로 부담스럽다. 이미 시장은 포화상태인 데다가 한국은 더욱 짜다. 사용자에게 선택지가 넓어진다는 것은 시장을 나눠야 하는 형국이기에 곧 판매량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상대할 제품의 성능과 가격, 라인업 등이 정해진 상태라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카드는 당장 가격 조정이라 봐도 무방하다.

현재 엔비디아 지포스 RTX 3080의 권장소비자가격(MSRP)은 699달러, RTX 3090은 1,499달러다. 입문형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라 할 수 있는 지포스 RTX 3070은 499달러에 책정되어 있다. 이들 제품의 가격을 조정함으로써 상품성을 유지하고, 소비자 시선을 계속 이끌 공산에 무게가 실린다.

 

20201108_095527.jpg

 

가격을 조정한다면 RTX 3070을 제외한 나머지가 물망에 오른다. 라데온보다 저렴한 것이 아니라 저렴하거나 조금 높은 수준으로 설정하는 식이다. 예컨대 RTX 3080을 699달러에서 RX 6800 XT와 동일한 649달러로 설정하거나 659달러 수준으로, RTX 3090은 1,499달러에서 1,299달러 정도로 조정하는 변화다.

자존심은 조금 상하지만, 상대를 어느 정도 인정하면서 RTX 30 시리즈의 자부심을 지키는 식으로 선회할 가능성도 무시 못 한다. 반면, 가격 조정이라는 카드를 꺼내기에는 짊어져야 할 부담의 무게가 가볍지 않다. 당장의 가격 인하는 그간 어렵게 제품을 구매해 온 소비자 반발의 단초가 된다.

그 점에서 능동적인 형태가 아닌 수동적인 형태로 접근하는 모습도 고민할 수 있다. 시장에 분위기를 유도해 자연스레 가격 인하를 끌어내는 방향이다. 즉 엔비디아가 유통 시장에 비용을 푸는 방식이다. 판매 수량이나 홍보, 마케팅 등으로 지원하는 비용을 늘려 제품 가격에 태운 후, 자연스레 가격 인하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어느 쪽을 선택해도 제품 구매를 고민할 소비자 입장에서는 유리할 전망이다.

이러한 구도가 전개될 경우 선택지가 다분한 엔비디아에 비해 라데온 RX 6000 시리즈는 시장에 던질 수 있는 카드가 급격히 제한된다. 애초에 후발주자인 데다 지금도 예측하기 어려운데 더욱 시장이 어떻게 반응하게 될지 불투명해진다. 추측건대 가격도 어떻게 보면 엔비디아에 대응하기 위해 비교적 빠듯하게 책정한 듯한 느낌이 짙다.

 

20201030_010642.jpg

 

참고로 라데온 RX 6800은 579달러, RX 6800 XT는 649달러, RX 6900 XT는 999달러에 각각 책정한 상황이다. RX 6800 XT와 6900 XT는 엔비디아 대비 경쟁력이 있는데, RX 6800의 가격은 조금 의외다. 이는 아무래도 덩치가 큰 칩(빅 칩)이어서 생산 단가 자체의 조절이 쉽지 않기에 그런 것이 아닐까 예상해본다.

시나리오 2 – 빅 나비가 예상보다 성능이 별로라면?
엔비디아는 예정대로 움직이거나, 칩 수급량 조절하거나


라이젠은 그간 루머를 통해 알려져 왔던 성능이 실제 근접한 수준이어서 충격을 안겨줬다. 5000 시리즈는 출시 전부터 화두였고, 출시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기운 건 루머 + 기대 + 실제 = 대박이라는 공식의 합이 기대를 뒷받침한 탓이다.

그에 반해 대부분 AMD 그래픽 관련 라데온 루머는 항상 성능이 뛰어나다는 이야기만 나오고 실제 성능은 그에 미치지 못해 ‘암레발(AMD + 설레발)’이라는 오명이 꼬리표처럼 따라다녔다. 만약 이번에도 그러한 우려가 현실이 되면서 새로운 라데온의 성능이 기대 이하라면?

 

20201108_095000.jpg

 

어떻게 보면 이것이 엔비디아가 원하는 바다. 당연히 라데온 RX 6000 시리즈에 굳이 대응할 필요성이 제로에 가깝다. 오히려 과감한 라인업 전개를 통해 라데온이 속할 포지션을 철저히 봉쇄하고 판매량을 늘릴 계획을 세우는 것이 현명하다. 대기 수요까지 이어질 정도로 인기가 여전한 상황에서 대적 상태라 여겼던 제품이 정작 무장해제 상태로 판가름 난다면 상대를 압박하는 건 일도 아니다.

이 무렵이면 엔비디아는 예정대로 제품 라인업을 전개할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 이미 일부 해외 매체에서는 11월 투입 예정이었던 지포스 RTX 3060 Ti에 대한 출시 일정이 12월로 늦춰졌다는 주장을 펼친 바 있다. 라데온 RX 6800 시리즈 출시(11월 18일 예정) 때문인지, 칩 생산 때문인지 알 수 없으나 이 이후에는 라인업을 갑자기 늘리는 것이 아닌 엔비디아 자체 로드맵에 따라(탑-다운 방식) 출시가 이뤄질 수 있다는 공산이다.

칩 수급량을 조절할 여유도 생긴다. 현재 라데온은 라이젠과 달리 같은 7nm여도 실리콘 다이 면적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라데온 쪽이 당연히 월등히 큰 면적을 자랑한다. 그만큼 생산에 어려움이 따르고, 초기 물량 공급 수율도 낮기에 문제 가능성이 높다. 엔비디아는 이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전개 중인 프로세서의 공급 상태에 유동적으로 대응하는 시나리오도 그려볼 수 있다.

오랜만에 그려지는 그래픽카드 경쟁 구도
치열한 경쟁은 소비자에게 긍정적 결과로 이어진다.


애석하게도 라데온은 항상 성능으로 지포스에 미치지 못 하는 일이 많았다. 하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를 꾀하고자 했다. 대표적인 것이 메모리 대역폭을 확대한 라데온 R9 퓨리 엑스(RADEON R9 Fury X)와 라데온 RX 베가(RADEON RX Vega)다.

여기에 적용된 것이 고대역 메모리(HBM – High Bandwidth Memory)로 GPU와 VRAM을 가깝게 구성해 고해상도 영역에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바 있다. 심지어 메모리는 적층 기술을 활용, 하나의 모듈로 용량과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획기적으로 확보하기도 했다.

20201030_005542.jpg

새로운 라데온에 이런 혁신은 목격되지 않았지만, 아키텍처 변화와 초미세 제조공정 도입으로 아쉬움을 상쇄하면서 상품성 확보에 주력했다. 그 결과 자신 있게 지포스와의 경쟁 구도를 그리며 시장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내고 있다. 라이젠에서 시작된 돌풍을 라데온으로 완성하겠다는 의지가 엿보인다.

이런 기술적 경쟁은 소비자에게 큰 이득으로 다가온다. 프로세서도 그렇고 그래픽카드도 마찬가지다. 비록 엔비디아가 RTX 30에서 기존 대비 가격 인상을 억제했다지만, 이미 이전 세대에서 가격을 대차게 인상한 전례가 있다. 당시 라데온은 뚜렷한 대항마가 없는 상태였다. RX 5000 시리즈가 출시됐지만, 경쟁자라 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그러나 흐름이 바뀌는 분위기다. 새로운 라데온이 상대적으로 합리적 노선을 취하고 있어서다. 시장의 기대대로 제품이 출시된다면 엔비디아 역시 무시하기 힘들다. 지금까지의 유리했던 분위기를 수성하고자 한다면 상품성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진다. 이는 곧바로 소비자에게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어떤 식이든 두 양대 브랜드의 대립은 소비자에게 득이 된다.

 

 

 

By 김현동 에디터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1. 마이크론 크루셜 P5 PLUS 1TB 아스크텍

    14Feb
    by 위클리포스트
  2. 기가바이트 AORUS 15P VD … 모든 노하우를 아낌없이 담다

    27Jul
    by 위클리포스트
  3. 아이피타임 AX8004M, 프리미엄 공유기 대중화에 대한 노골적 선언

    27Jul
    by 위클리포스트
  4. 기가바이트 에어로 15 OLED KD … 게임이나 영상 편집 혹은 설계를 단 하나로!

    28Jun
    by 위클리포스트
  5. [써보니] 손맛이 다른 노트북, RTX 30 탑재 어로스 17G XC i7

    24May
    by 위클리포스트
  6. 외장하드의 개념을 재정의하다. 마이크론 크루셜 X6 아스크텍

    06May
    by 위클리포스트
  7. 인텔 11세대 코어 i9-11900, 게이밍을 위한 끝판왕!

    30Mar
    by 위클리포스트
  8. 인텔 11세대 코어 i7-11700KF, 가장 대중적인 고급 프로세서의 정석

    30Mar
    by 위클리포스트
  9. 인텔 11세대 코어 i5-11400, 막강한 ‘가성비’ 주자

    30Mar
    by 위클리포스트
  10. 출시 목전 지포스 RTX 3060Ti… 가장 합리적인 VGA 타이틀 얻나?

    01Dec
    by 위클리포스트
  11. 세계에서 가장 빠른 360Hz 초고주사율 모니터. ASUS ROG SWIFT PG259QN

    01Dec
    by 위클리포스트
  12. 부담은 낮추고 성능은 높였네! 엔비디아 RTX 3060Ti 그래픽카드

    01Dec
    by 위클리포스트
  13. 출시 목전 지포스 RTX 3060Ti… 가장 합리적인 VGA 타이틀 얻나?

    01Dec
    by 위클리포스트
  14. 157만 명 지켜본 지스타, PC 시장에 남긴 메시지는?

    01Dec
    by 위클리포스트
  15. 빈티지에 대한 영리한 제안, 캔스톤 ATP-3 블루투스 진공관 스피커

    01Dec
    by 위클리포스트
  16. “영어 할 줄 아세요?” 황당한 애플 서비스 … 빅서게이트 역풍 자초

    01Dec
    by 위클리포스트
  17. ‘사용자에게 행복 안길 혜택을 고민하다’ 인텍앤컴퍼니 김미애 차장

    01Dec
    by 위클리포스트
  18. 탈(脫) 인텔 애플, 독자 행보 잰걸음

    14Nov
    by 위클리포스트
  19. 빵콩의 향수! 레노버? 아니 레트로. TEX 전자 시노비 싱크패드 키보드

    14Nov
    by 위클리포스트
  20. 게임도 장비빨! 스티머의 선택 인텔 10세대, 왜?

    14Nov
    by 위클리포스트
  21. 제타 바이트 시대 활짝! 웨스턴디지털 NVMe SSD 라인업 강화

    14Nov
    by 위클리포스트
  22. 고사양 PC에서 가성비를 찾다. AS까지 잡은 PNY 지포스 RTX 3070 UPRISING

    14Nov
    by 위클리포스트
  23. 모르고 있었다면 더욱더 아쉬울 SSD, OUTTON MK-500 LITE NVMe

    14Nov
    by 위클리포스트
  24. 보급형으로 만끽하는 고급형 퍼포먼스! 맥스엘리트 맥스웰 게이밍 프로 700W 플랫

    08Nov
    by 위클리포스트
  25. 스타일과 내구성 듬직, WD마이 패스포트 SSD 외장 스토리지

    08Nov
    by 위클리포스트
  26. 세상에서 가장 잘 팔리는 태블릿 … 아이패드 에어4

    08Nov
    by 위클리포스트
  27. 단언컨대 기계식 키보드의 끝판왕, 앱코 AR87

    08Nov
    by 위클리포스트
  28. PC케이스, 브랜드 빼고 다 바꾸다. 마이크로닉스 시스템 사업부 최범석 이사

    08Nov
    by 위클리포스트
  29. 파워 시장, 지금은 효율·출력·안정성으로 경쟁력 강화 中

    08Nov
    by 위클리포스트
  30. AMD 빅 나비 날갯짓, 엔비디아 견제 … 예상 시나리오

    08Nov
    by 위클리포스트
  31. 대세 등극 지포스 RTX3070 … 갤럭시, 조텍, 게인워드, ASUS, PNY

    08Nov
    by 위클리포스트
  32. 지포스 RTX 3080 사태 재해석 … 폭리인가? 오해인가?

    08Nov
    by 위클리포스트
  33. 황금상권 PC방, AMD 왜 쓰냐고?

    29Oct
    by 위클리포스트
  34. 압력 감지 아날로그 키보드 우팅!

    30Jul
    by 위클리포스트
  35. 윈10 업데이트 호재, 라이젠 ‘방긋’

    18Jun
    by 위클리포스트
  36. 손때 묻은 LP판을 꺼내 들었다. JSD R50SE 블루투스 스피커

    22Apr
    by 위클리포스트
  37. 공인된 튜닝 브랜드, 풀 라인업 구축 비결은? 서린씨앤아이 김태왕 부장

    22Apr
    by 위클리포스트
  38. 쿼드코어 자존심 대결. ‘인텔 vs AMD’ 가심비 배틀

    22Apr
    by 위클리포스트
  39. 산업현장·콜센터·운전에 딱! 자브라 블루패럿 C300-XT

    20Mar
    by 위클리포스트
  40. 레트로 NO 뉴트로 YES, 전자랜드 R50 SE 첫 선

    20Mar
    by 위클리포스트
  41. 거품 뺀 국민 4K모니터, 와사비망고 UHD 280DP REAL4K 재은이

    14Mar
    by 위클리포스트
  42. 라디오부터 MP까지 올인원, 캔스톤 E1 시그날 휴대용 라디오

    14Mar
    by 위클리포스트
  43. 2세대 블랙 WD SN750 NVMe SSD “속도는 UP 용량은 WIDE.”

    08Mar
    by 위클리포스트
  44. PC사용자 마음 사로잡은 비결은? 한미마이크로닉스 주우철 팀장

    03Mar
    by 위클리포스트
  45. 업무용 PC 끝장 배틀 ‘AMD vs INTEL’ 승자는?

    03Mar
    by 위클리포스트
  46. 몸값 낮춘 어로스, 오직 게이밍이 핵심!

    21Feb
    by 위클리포스트
  47. 불쾌한 냄새 잡는 ‘발뮤다 더 퓨어’ 공기청정기 출시

    12Feb
    by 위클리포스트
  48. 다이슨 ‘라이트사이클’ 전진배치, 조명 시장 정조준

    12Feb
    by 위클리포스트
  49. 불과 0.22초만에 포착 AF, 소니 A6400 미러리스

    11Feb
    by 위클리포스트
  50. 기가바이트 노트북, 엔비디아 RTX 20 GPU를 들이다

    03Feb
    by 위클리포스트
  51. 엔비디아 RTX 20시리즈도 오롯이 조텍

    03Feb
    by 위클리포스트
  52. 엔비디아 RTX 2060 … 돈값 하나?

    03Feb
    by 위클리포스트
  53. 대용량 14TB, 씨게이트 바라쿠다 프로 14TB

    09Jan
    by downb****
  54. [레드데드리뎀션2] - Red Dead Redemption 2 PS4 Pro(HDD/SSHD/SSD) 로딩 테스트

    09Jan
    by downb****
  55. 성능·크기·안정성 모두 잡았다…‘씨게이트 바라쿠다 2TB HDD’

    04Jan
    by downb****
  56. 씨게이트의 새로운 시작, 바라쿠다 SSD 시리즈

    04Oct
    by downb****
  57. 새롭게 출시된 MSI B450M MORTAR 리뷰

    28Aug
    by 전사증표
  58. 새롭게 출시된 B450 보드 MSI B450 TOMAHAWK 리뷰

    08Aug
    by 열혈남아
  59. [갓오브워] God Of War - PS4 Pro(HDD/SSHD/SSD) 로딩 테스트

    06Jul
    by downb****
  60. SSD 범용화 꿈꾸는 Fastar F700 SSD

    05Jul
    by downb****
  61. [파크라이5] Farcry 5 PS4 Pro(HDD/SSHD/SSD) 로딩 테스트

    04Jul
    by downb****
  62. [완다와거상] PS4 Pro(HDD vs SSHD) 로딩 테스트

    05Apr
    by downb****
  63. 개성있는 포터블 키보드 - 아이리버 IR-WMK500 mini

    25Mar
    by downb****
  64. PS4 유저를 위한 씨게이트 Game Drive for PS4 4TB

    08Mar
    by downb****
  65. [몬스터헌터:월드] PS4 Vs PS4 Pro(SSHD) 로딩 테스트

    21Feb
    by downb****
  66. 5년 워런티, 매력적인 성능의 대원CTS 마이크론 MX500 250GB

    12Feb
    by downb****
  67. 씨게이트 ‘몬스터헌터 : 월드’ 발매일 맞추어 외장하드 이벤트 취재 현장

    29Jan
    by downb****
  68. [스타워즈:배틀프론트2] PS4 Vs PS4 Pro(SSHD) 로딩 테스트

    04Jan
    by downb****
  69. [Call Of Duty : WWII] PS4 Vs PS4 Pro(SSHD) 로딩 테스트

    03Jan
    by downb****
  70. 에센코어 클레브 1월 이벤트 ! 에센코어를 알려라 !

    02Jan
    by 열혈남아
  71. PC 게이머에 적합한 HDD, 씨게이트 바라쿠다 6TB(ST6000DM003)

    30Dec
    by downb****
  72. 기계식 부럽지 않은 게이밍 키보드, 아이리버 IR-K90

    30Dec
    by downb****
  73. 사운드바? 2채널 스피커? 트랜스폼 스피커 캔스톤 T11

    29Dec
    by downb****
  74. 더 나은 게임 환경을 위한 선택, 씨게이트 바라쿠다 프로 12TB(ST12000DM007)

    28Dec
    by downb****
  75. [FIFA18] PS4 Vs PS4 Pro 로딩 테스트

    29Nov
    by downb****
  76. 에센코어의 메모리 전문 브랜드 KLEVV, CRAS II RGB 출시

    24Nov
    by 열혈남아
  77. SK Telecom T1 선수들이 쇼호스트로 변신하다! 이거 실화냐? (동영상 첨부)

    18Oct
    by 열혈남아
  78. 전자랜드프라이스킹,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런칭 기념 게이밍 PC 기획전

    10Aug
    by 열혈남아
  79. 전자랜드 프리미엄 일체형 게이밍 PC, 34형 크기와 게임 성능에 압도되다!

    26Jul
    by 열혈남아
  80. SSD 단점 극복 공식 = 옵테인 + HDD

    04Jul
    by 위클리포스트
  81. 판도라 상자 연 ASUS, 구원 타자 X299 M/B 등판

    03Jul
    by 위클리포스트
  82. PC방 전성기 이끈 대작! 스타크래프트:리마스터 광복절 컴백

    30Jun
    by 위클리포스트
  83. 3회차 엔비디아 지포스데이 2017, 팬심 후끈 1,500명 한 자리에

    26Jun
    by 위클리포스트
  84. 방자한 키보드, 手르가즘 하라! 앱코 K660 광축 키보드

    22Jun
    by 위클리포스트
  85. 전국구 덕후배 체육대회 성료, 다나와 제 2회 DPG캠프

    20Jun
    by 위클리포스트
  86. 난 캠핑가서 영화본다. ASUS 젠빔(ZenBeam) E1

    15Jun
    by 위클리포스트
  87. 성능이라 부르지 말라! 기술이 다르다. ESSENCORE 클레브 NEO N600

    12Jun
    by 위클리포스트
  88. 4TB HDD 대중화로 한 발, 씨게이트 바라쿠다 ST4000DM004

    08Jun
    by 위클리포스트
  89. '발 빠른 대응'이 전략, 시장 점유율 1위 ASUS 다음 먹거리 향한다.

    28Apr
    by 위클리포스트
  90. 만년 2위 설움 종지부? 한 품은 AMD 제대로 날 세웠다.

    13Apr
    by 위클리포스트
  91. '보는 즐거움, 듣는 즐거움, 참여하는 즐거움' 나이스게임TV 정진호 대표

    29Mar
    by 위클리포스트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CLOSE

SEARCH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