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72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모두시스-1.jpg

 

 

국내 스틱 PC가 소개된지도 이제 상당한 시간이 흘렀다. 거의 반년이 이제 넘어가는 상황에서 2세대격 제품들이 출시를 시작했다.

 

OS을 2개를 장착한다든지 오늘 소개할 모두시스 제품처럼 그동안 불만으로 여겨지던 하드웨어 성능에 대해서 팬을 장착해 안정성을 높이고 성능의 안정화를 꽤한 제품이다. 프로젝터부터 액션캠까지 다양한 제품을 소개하는 브랜드인만큼 기대감을 가지고 소개해 보겠다.

 

스틱PC을 최초로 출시할때는 태블릿 PC을 TV나 모니터에서 활용성을 높이고자 시작햇는데 2세대 제품까지 출시가 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제조사들이 발전을 시키고자 하는것 같다. 분명히 목적은 무소음에 웹 검색 정도였지만, 시장에서 유저들이 요구하는건 달랐던것이다.

 

그 불만 섞인 유저중에 한명이 ㅎㅎ 글 쓰고 있는 필자다

 

 

모두시스-2.jpg

 

모두시스 제품의 큰 다르점은 2세대 스틱 PC라는점이다. 윈도우8이 아닌 윈도우10을 기본 탑재했고 크게 다른점은 쿨러 장착을 했다는 점이다. 1세대 제품과의 가격차이는 최대 4만원정도의 가격 차이를 보이고 있다.

 

모두시스-3.jpg

 

다른점은 팬 장착에 따른 흡기와 배기를 위한 공기 구멍이 송송 뚫려 있다는점이다. 단순히 CPU만의 발열이 아니라 WIFI을 통한 데이터 전송시에서 발열이 발생하면서 동반적으로 시스템 전반에 열이 상승했었던 것이 1세대 스틱 PC의 가장 큰 단점이였다.

 

 

모두시스-4.jpg

 

어떤 모니터나 TV에서든지 꼽기만 하면 깡통 TV도 스마트 TV가 된다는 놀라운 사실

분명한 이점은 하나이다. 깡통 모니터 저렴하게 구입해서 10만원 중반대의 가격으로 좀더 나은 성능의 스마트 TV을 가질수 있다는점이 가장 큰 매력이라는 점이다.

 

모두시스-5.jpg

 

USB 호스트 포트 1개와 2A의 전원 입력 단자를 가지고 스마트폰 고속 충전기를 이용하거나 TV 자체적으로 요즘은 높은 출력의 전압을 쏴주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을 끌어오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 한다.

 

모두시스-6.jpg

 

최대 128GB 확장되는 TF 슬롯 USB OTG 지원을 위한 마이크로 B타입의 포트 1개를 제공한다.

 

모두시스-7.jpg

 

기본 세팅은 이렇다. 무선키보드 마우스 리시버와 수시로 카드 리더기를 통해서 데이터를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OTG 케이블을 이용해서 연결했다. 참고로 스틱 PC 자체적으로 전원이 적게 들어가는 만큼 별도의 전원이 들어가는 USB 허브를 이용하지 않는한 외장하드 사용은 불가능하다고 보아도 된다.

 

모두시스-8.jpg

 

먼저 윈도우10 업데이트 먼저 진행^^

 

모두시스-9.jpg

 

그리고 TV나 PC에 연결해서 사용하면 끝

 

모두시스-10.jpg

 

활용편에서 다루겠지만, 모바일 프로젝터와 이용한다면 스틱 PC의 최대의 장점과 활용성이 빛을 발하게 된다.

 

 

모두시스-11.jpg

 

세대 제품과 비교 한다면 팬의 유무가 전부가 아닐까 한다.

 

모두시스-12.jpg
 

팬이 들어가면서 팬이 들어간만큼의 두께만큼 모두시스 스틱 PC의 두께가 늘어났다. 

 

모두시스-12a.jpg

 

전체적인 사양 변화는 없다고 보아도 된다 태블릿 PC에서도 이용하는 CPU 인만큼 크게 불편함은 없을만한 성능이지만, 발열에 따른 CPU 쓰로팅이 발생하면서 전체적인 성능 하락이 일어난 것이 가장 큰 문제였다. 

 

모두시스-13.jpg 

 

 

와아 이렇게 차이가 많이 나는군요!! 1세대 제품은 80도까지 오르면서 성능 제한이 들어가지만 모두시스 제품은 어떠한 환경에서는 50도 정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참고로 1세대 제품의 경우 최대 온도로 올라갔을시에 HD급 영상의 스트리밍하는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모두시스-14.jpg 

 

성능은 이정도 무의미하기는 하지만 확인하다는 정도로만 넘어가면 될듯하다. 인터넷 검색과 영화보고 영상 스트리밍에 있어서 불편할만한 성능은 아니다.  

 

모두시스-15.jpg 
 

듀얼밴드 지원으로 끊김없는 무선 인터넷 환경이 구축이 된다.  

 

모두시스-16.jpg

 

이 부분에 테스트는 한번더 진행하겠지만, 대략 회선 속도의 절반의 속도를 보여준다.  

 

모두시스-17.jpg

 

 

참고로 집에서 케이블 TV IPTV 시청하지 않는다. 티빙 영상 스트리밍을 통해서 TV 시청을 하기 때문에 고성능의 PC는 필요 없다. 그렇다고 스마트폰의 미라캐스트를 통한 연동은 끊김이 너무 심했고 대한은 역시 스틱가 가장 좋은 솔루션이였다.

이제는 좀더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점과 NAS에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불러왔을시에 끊김없이 이용할수 있다는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모두시스-18.jpg
 

자 정리..

스틱 PC 자체적으로는 CPU에서의 발열은 제어할 정도였다. 1세대 일때도 다만 WIFI 모듈에서 오는 발열이 동반이 되면서 전체적인 시스템이 발열이 증가되고 성능 하락이 일어난 것이 주요 원인이였다.

모두시스 스틱PC (MDS-2200W10) 제품은 이점에 대한 개선을 이룬것이 가장 큰 특징인 제품이다.

 

소음적인면은 민감한 사용자라면은 민감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TV 시청시에는 소음이 묻힐 정도이고 가까이 있을때에 소음이 확인될 정도인만큼 큰 불편함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오히려 NAS에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받아오면서 영상이 끊김없이 재생 된다는 것만으로도 오히려 환영할만한다.

 

아 드디어 해결한듯한 기분 다음편에서는 제품의 활용과 더불어서 실제적으로 어떤 용도로 활용하면 좋을지와 성능의 장점이 어떠헥 발휘되는지를 더 소개해 보겠다.

 

 

모두시스-1.jpg

 

모두시스 스틱 PC 어떻게 활용하면 될까?

이전 소개했듯이 1세대 제품군에 비해서 팬이 장착이 되면서 부하가 많이 걸리는 작업에서도 내부 시스템 온도를 50도 정도로 유지하면서 성능 저하 없이 사용할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그렇다면 좀더 폐쇄적인 환경에서도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 않을까도 한다.

 

스틱 PC는 말 그대로 현재 우리가 흔하게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10 태블릿 PC를 큰 모니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품이다. 성능은 미리 가늠해면서 시작해 보겠다.

 

 

모두시스-2.jpg
 

아 팬 유무의 차이가 이렇게 크다니.....평소에는 잘 모르지만 WIFI을 통해서 동시에 신호를 받으면서 CPU에 부하가 들어가면 성능저하가 시작된다. 가장 큰 문제는 발열에 따른 무선 속도까지도 하락하면서 전반적인 성능 하락이 팬이 없는 제품에서 주로 일어났다.

모두시스는 그런 상황은 없다. 대신 약간의 소음을 얻었다는점

 

 

모두시스-3.jpg
 

태블릿 PC가 액정떼고 스틱 PC가 되었다면은 디스플레이가 필요로 하지 않을까?

 

모두시스-4.jpg

 

그래서 선택한 제품군이 모바일 프로젝터다. 최근에 출시한 제품들은 hdmi을 다이렉트로 연결 가능하도록 마련을 해놓은만큼 사용성이 대폭개선이 되었다. 왜 모바일 프로젝터와 사용하면 좋냐

 

 

모두시스-5.jpg

 

바로 연결성 때문이다.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면은 미라캐스트 정도로 충분하겠지만, 문제는 미라캐스트의 무선 연결이 매끄럽지 못한데에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유선 연결을 하거나 오늘 소개할 모두시스 같은 스틱 PC을 연결해버리면 되는 것이다.

 

 

모두시스-6.jpg

 

실제 모델명에 나와 있듯이 윈도우10이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다.

 

모두시스-7.jpg

 

이렇게 노트북 연결할 필요도 없고 별도의 동기화 과정도 필요 없다. 스틱 PC연결하고 집안의 네트웍망에 접속해서 데이터를 끌어 오기만 하면 된다.

 

모두시스-8.jpg
 

가장 문제가 되던 성능 저하 문제는 이제 없다고 보아도 된다. 1세대 제품군이 최대 80도까지 올라가면서 무선성능과 시스템 성능 모두를 하락 시킨것에 반해 모두시스 스틱 PC는 50도 정도의 온도로 성능 저하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태블릿 PC는 왜 팬이 없나하고 물음표를 던질수 있겠다. 화면이 크고 발열 면적이 넓어서 별도쿨링 솔루션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스틱 PC는 몰아서 있으니까^^

 

 

모두시스-9.jpg

 

웹검색과 대부분의 작업에 있어서 큰 문제 없음 간단한 사진 편집도 가능하지만 그 이상의 작업은 딜레이가 발생한다.

 

참고로  HDMI 버전은 높지만 지원하는 해상도는 풀 HD로 제한이 된다. 테스트한 모니터가 WQHD 해상도에서 확인을 해보았지만, 역시 미지원한다. 구입할려고하는 유저들은 해상도 부분을 미리 확인해야 할듯 하다.

 

 

모두시스-10.jpg

 

오피스 작업이라든지 대부분의 태블릿 PC에서 구현했던 작업은 모두 가능 중고 데스크탑 PC나 20-30만원대 오피스용 PC조립하는 것보다는 경제적인 측면도 있다. 공간 제한도 없다. 부족한 내부 용량은 클라우드와 TF카드를 통해서 확장을 하면 된다.

 

 

모두시스-11.jpg

 

스틱PC사용의 주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다. 집안에 구축해 놓은 NAS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불러올대 큰 화면에서 손쉽게 끌어 올려고 하는데 목적이 있어서다.

 

아 NAS만 아니였다면 스틱 PC의 사용성은 TV을 수신하기 위한 단순한 제품으로 전략했을지도 몰랐겠다. 참고로 IPTV 사용하는 유저라면 POOQ이나 티빙 이용하면 3000-5000원 정도로 이용 가능하다. 약정의 노예는 더이상

 

 

모두시스-12.jpg

 

NAS 시스템에서 실시간으로 풀 HD 동영상을 불러올시에 전체적인 시스템 부하는 50%정도이다. 온도는 50도 정도로 안정적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  

 

모두시스-13.jpg

 

소비전력은 스틱PC 단독으로 약 5W 정도 모니터 소비전력과 합한다면 55W 정도면 PC한대가 구현이 된다. 일반적인 PC의 소비전력이 150W-300W 정도를 가지고 있는 상황이기에 모니터 1대정도의 소비전력으로 PC을 구축할 수 있다. 

 

모두시스-14.jpg
 

교체하기를 잘했어요..

그동안 1세대 제품 사용하다가 부하가 걸리면 왜 인터넷이 끊기지 왜 딜레이가 걸리지 했는데 결국은 발열이 문제였던 것을 모두시스 스틱 PC로 해결했다.

개인적으로 모바일 프로젝터와 사용하면 그 시너지가 가장 크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모두시스-1.jpg

 

모두시스 스틱 PC 정확히 말해서는 2세대격 제품이다. 쿨링팬의 유무에 따라서 스틱pc의 성능이 달라지다니 하는 놀라움이지만....

발열등으로 인해서 성능 저하에 대한 불만이 있었던만큼 이 부분을 개선한 제품이 나온것은 어떻게 보면은 소비자의 요구가 반영이 된 것이 아닐까 한다. 이점은 역시 그동안 부하가 걸릴시에 최대 80도 이상까지 올라가면서 성능저하가 오던 상황을 단번에 50도 정도로 온도 안정화시키면서 모든 성능을 사용할수 있게 해준다는 점이 모두시스 스틱 PC의 장점이 아닐까도 한다.

 

 

모두시스-2.jpg

 

출발은 간단했다. 아니 불만 중에 하나인 온라인을 통해서 스트리밍을 핤시에 끊김없는 영상만 불러와준다면 그것만으로도 만족했을텐데 하는 아쉬움으로 모두시스 제품을 사용했고 결과는 대만족.....

 

 

모두시스-3.jpg

 

TV에서 사용하면서 무선으로 hd급 영상 파일을 불러왔을시에 끊김현상이 사라졌고 동반적으로 무선모듈의 장애도 사라졌다.

 

 

모두시스-4.jpg

 

이제서야 제대로된 속도가 다 나온다고 보아도 될듯하다.

 

모두시스-5.jpg
 

온도는 모두시스 스틱 pc가 55도 이하로 온도 조절...

 

모두시스-6.jpg

 

 

이제 nas에서 데이터 불러올때 불안함이 완전히 사라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모두시스-7.jpg

 

실제 온라인을 통해서 파일을 끌어오면서 재생할시에 스틱pc에 부하 걸리는 비율은 50% 자원을 사용한다

 

모두시스-8.jpg

 

가장 기대했던 부분인 모바일 프로젝터와의 사용성은 최고인듯하다.

외부에서 사용할때 미라캐스트는 불안하고 자체적인 재생 기능도 역시 불안하다는점에서 노트북 연결의 불편함을 스틱 pc하나로 모두 해결 했다.

 

보조배터리 하나로 구동할수 있는 저전력성을 보여주는 만큼 장소 제한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pc 을 가지고 다닐수 있다는점에서 캠핑족/코피스족/발표가 많은 사용자들도 추천할만하다. usb 대시 스틱 pc 하나만 프로그램의 설치 불편함 없이 pc 한대를 자유자재로 컨트롤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두시스-9.jpg

 

하나의 팁이라면 tv 켜거나 모니터 뒷쪽에 연결 후 스틱 pc 버튼을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였다.

 

모두시스-10.jpg

 

해결 방법은 단순하다 부티오디는 순간에 cmos 모드로 접근후 이미지에 보이는 부팅 관련된 메뉴에 접근하면 된다.

 

 

모두시스-11.jpg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전원이 들어오도록 설정을 하기만 하면 리모컨 누름과 동시에 pc도 짠 켜진다.

 

 

모두시스-12.jpg

 

성능 자체는 평소에 사용하던 윈도우 태블릿 pc 정도의 성능이다.

오피스 업무 가능하고 간단한 사진 편집 풀 hd 해상도에서의 영화감상 등도 당연히 가능하다. 대부분의 일상적인 업무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다는 의미이다. 단 hdmi 자체적으로 출력할수 있는 해상도는 풀 hd로 제한적이다.  

 

모두시스-13.jpg
 

끝....거실 pc 드디어 바꾸었다.

아 정말 1세대 스틱 pc의 경우에는 웹 검색 정도에서는 큰 불편함이 없지만 영상 스트리밍이 들어가면 문제가 있었기에 거실 pc로서의 장점이 퇴색했던것도 사실이였다. 이 점을 단번에 해결했다는점에서 모두시스 트윙글 pc가 주는 장점이 아닐까.~~

 

자 유저들이 궁금해하는점 소음..있다. 없다고 하면 너무 거짓말이지 않을까 그리고 실망하는 유저들도 있지만 제품 자체의 특성상 tv 대신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용도로 활용하는것이 주 목적이고 tv에서 떨어져 있는 사용 환경인만큼 귀에 거슬릴만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단 조용한 방에서 모니터에서 단일 디바이스로 활용시에는 소음이 들릴 수 있다. 일반 pc 정도의 소음은 되지 않을까 한다.

 

 

 

- 본 포스팅은 참스토리와 제조사로부터 물품을 무상 제공 받아 작성 하였습니다. -

 

 

원본 블로그: http://nothingdesign.co.kr/151



  1. No Image

    짱짱한 아이폰6 케이스 슈피켄터프아머테크 케이스 사용기

        슈피겐에서 출시한 아이폰6와 6s 케이스이다. 독특한점은 밀리터리 라인업이라 해서 아주 짱짱함을 무기로 아이폰을 보호할 수 있는 제품군이다. 주요 모서리 부분의 탬퍼 역할을 하는 구조 채용으로 낙하시에 아이폰을 보호하는 제품군이다. ^^ 외장하드...
    Date2015.12.21 Category모바일 Byarima Views1048
    Read More
  2. 블루 LED와 아크릴 윈도우가 적용된 COX AG 110A USB3.0 케이스 리뷰

    보급형 케이스 중에서 디자인이 뛰어나며 가성비 좋은 케이스를 제조하고 있는 COX에서 새로운 미들타워 케이스를 출시했습니다. 전면에 2개의 120mm 블루 LED와 측면 투명 아크릴 윈도우를 적용하여 튜닝 효과가 돋보이는 COX AG 110A USB 3.0 케이스를 살펴...
    Date2015.12.21 Category케이스 Byhybridneo Views723
    Read More
  3. 써멀테이크 Riing 12 LED RGB 256 Colors 아스크텍

    10여년 전 오버클럭에 취미를 들이면서 컴퓨터 쿨링 방식을 수냉으로 입문하였고, 그 후에는 UV 튜닝에 관심을 많이 가졌던 적이 있습니다. 그 이후로도 계속 오버클럭을 위해서 수냉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언제부턴가 튜닝에는 관심이 시들해지기 시작했습...
    Date2015.12.18 Category쿨링 ByOCer Views1193
    Read More
  4. 가볍고 편안한 인이어 이어폰. 묵직한 저음이 매력적인 캡스톤 ComfortTunes 리뷰

      이번에 살펴볼 제품은 국내 사용자들에게 좀 생소한 사운드 브랜드인 캡스톤의 ComfortTunes 인이어 이어폰입니다. 캡스톤은 주로 모바일 제품과 관련된 사운드 제품과 충전기등의 엑세서리를 주로 개발하고 있는 독일 회사입니다. ComfortTunes 이라는 제...
    Date2015.12.15 Category사운드 Byhybridneo Views624
    Read More
  5. 쿨러마스터의 야심작 MASTER PRO

          얼마전에 쿨러마스터에서 새로 출시한 MASTER PRO 케이스입니다.   그동안 쿨러마스터는 언제나 무지박스에 담아서 판매를 했는데..   웬일로 마스터케이스는 무지박스가 아닌 컬러 박스에 담아파네요...           심지어 케이스 보호용 비닐(?)하고 ...
    Date2015.12.14 Category케이스 By대발이 Views643
    Read More
  6. 쿨러마스터 CM STORM MECH 간단 개봉기

      기존에 레오폴드 FC900R 스탠다드 PBT 를 사용하였는데기본키만 있어서 너무 심심했었는데 함께 배틀필드4를 즐기는 지인이 쿨러마스터 CM STORM MECH 를 추천해주셔서 충동 구매 하게 되었습니다. 2013년 출시제품으로 쿨러마스터의 알루미늄 사랑(?) 이 ...
    Date2015.12.14 Category키보드 By김초보 Views821
    Read More
  7. No Image

    모두시스 2세대 스틱 PC 안정적인 성능과 활용방법은 무궁무진

        국내 스틱 PC가 소개된지도 이제 상당한 시간이 흘렀다. 거의 반년이 이제 넘어가는 상황에서 2세대격 제품들이 출시를 시작했다.   OS을 2개를 장착한다든지 오늘 소개할 모두시스 제품처럼 그동안 불만으로 여겨지던 하드웨어 성능에 대해서 팬을 장착...
    Date2015.12.13 Category기타 Byarima Views728
    Read More
  8. No Image

    잘만 파워 서플라이 ZM700-TX 80플러스 인증 효율좋은 파워

      잘만의 700W 파워를 소개한다. 드디어 파워를 교체했다. 스카이레이크 시스템으로 옮겨오고 나서 소비전력이 많은 그래픽카드까지 추가적으로 장착이 되면서 잘만 ZM700-TX 파워 전에 사용하던 제품이 영 불안했던것이 사실이다. 전에 사용하던 파워의 용량...
    Date2015.12.08 Category파워 Byarima Views877
    Read More
  9. 에어셀 미니프로젝터 사용기

      프로젝터 시장이 올해들어서 가장 뜨겁게 달아오른 시기가 아니였나 싶다. 삼성이 떠난 빈자리를 LG프로젝터가 가성비와 좋은 디자인으로 채워나가기 시작했고, 중소 업체들과 캐논 SK텔레콤 등 몇몇 업체에서 미니프로젝터와 피코프로젝터 중심으로 제품군...
    Date2015.12.08 Category모바일 Byarima Views1396
    Read More
  10. No Image

    GAMDIAS EREBOS LITE 게이밍 마우스 사용기

      GAMDIAS EREBOS LITE 게이밍 마우스 사용해 보았다. 익히 알고 있는 브랜드인만큼 오직 유일하게 하는 게임 배틀필드에서 얼마나 잘 동작하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이 첫번째이다. 딱히 게임 파워유저가 아닌만큼 느낌 그대로 마우스에 대해서 평가해보겠다. ...
    Date2015.12.08 Category마우스 Byarima Views422
    Read More
  11. 도시바 Q300 240GB - 초보자들에게 적극 추천하는 SSD

    Reviewed by 케레인 http://blog.naver.com/kcw767/220561817664 TOSHIBA Q300 240GB 안녕하세요. 쿨엔조이 마스터, 케레인입니다. 1달 전에 ADATA Premier SP550을 소개시켜 드렸는데 이달에는 TOSHIBA Q300을 선보이게 되었습니다. SSD 시장에서는 마이크론...
    Date2015.12.08 Category저장장치 By케레인 Views899
    Read More
  12. 처음 써본 TLC SSD, 크루셜 BX200 480GB

    블로그 원문 : http://ocer.kr/7762   몇달 전 크루셜 SSD 리뷰를 진행했었는데요. 그때 모델은 BX100 이었습니다. MLC 방식이었고, 용량은 250GB 였습니다. 오늘 소개할 제품도 크루셜 SSD 로 가장 최신 제품인 BX200 입니다. BX100 에서 BX200 으로 모델명이...
    Date2015.12.03 Category저장장치 ByOCer Views91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59 Next
/ 59
CLOSE

SEARCH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