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do
조회 수 736 추천 수 3 댓글 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i14198679579.jpg : 컴터 맞추려는데 지식 좀 빌려주세요~

적당히 상옵 게임들(배틀그라운드,데스트니2,배틀필드1 정도?) 돌릴 컴터 하나 맞추려는데요.

이런게 익숙하지 않아서 어떤 브랜드 제품이 좋은지 모르겠네요.

cpu는 ryzen r5 1600

gpu는 gtx1060

정도 사양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파츠마다 어느 브랜드가 좋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ㅁ'

메인보드는 asus 스카이 레이크가 좋다고 들은거 같고..
그리고 cpu는 아직도 라이젠이랑 인텔 중에 고민이네요.

마땅히 물어볼데가 없어서 잇셈에 도움요청합니다 ㅠㅁㅠ

궁금점들)

- 라이젠 vs 인텔?
-ryzen 5 1600x 와 그냥 1600의 차이점 (1600x 가 3만원정도 더 비싸더군요)
-파츠별 선호 브랜드
-파워 고르는 노하우?
-ssd 와 hdd 고르는 노하우
-메인보드와 부품들 호환성 확인법

시간이 되시면 몇개만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미지는 인벤 견적게시판에서 받은 견적인데 아마존에 없는 제품들이 있더군요 참고삼아 첨부했습니다.

글쓴이 님의 최신글
  1. 2018-12-06 08:40 이야기 > 잇셈에도 대난투 기다리시는분이 계시려나요 *15
  2. 2018-08-16 04:59 이야기 > 디아블로3가 닌텐도 스위치로 이식된다는 루머가 떴습니다 *10
  3. 2018-07-15 06:21 이야기 > 위험한 이베이.. Game Boy Advance 구매 *5
  4. 2018-07-14 06:19 이야기 > 게임을 시작합니다... *23
  5. 2018-06-23 09:11 이야기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질문 *4

Who's do

profile

Hi

▼ 펼쳐 보기
Atachment
첨부 '1'
  • profile
    pjm4017Best 2017.05.21 09:41

    - 라이젠 vs 인텔?

    기본적으로 다중 작업에는 라이젠, 깡클럭은 인텔이 좋아서 게임용으로 사용됩니다만은 7700k 와 1700에서 좀 차이가 나지 i5 레벨에서는 라이젠이 좀 더 낫습니다.
    -ryzen 5 1600x 와 그냥 1600의 차이점 (1600x 가 3만원정도 더 비싸더군요)
    1600x 기본클럭이 3.6ghz~4.0ghz , 1600 3.2ghz ~3.6ghz 입니다. 배수락에 따라 차이가나는 인텔과 다르게 라이젠은둘다 오버는 가능하고 둘다 솔더링이 되어 있습니다.

    -파츠별 선호 브랜드

    개인적으로는 as 경험상 이엠택 제품이 가장 낫습니다. 가장 피해야할 수입사는 as 막장으로 유명한 제이씨현(피씨 디렉트와 함께 양대 기가바이트 수입사)입니다. 
    -파워 고르는 노하우?

    가격대비 성능 고려했을때 탑파워 슈퍼플라워 fsp 를 많이 씁니다.

    80plus 라는 인증 제도라는게 있는데 100% 부하가 일어났을때 몇퍼센트까지 버틸수 있느냐 라는 척도입니다. 스텐다드인 80% 시작해서 80+ 티타늄은  90% 까지 버틴다는걸 인증받았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한다면 검증된 메이커에서 80Plus 브론즈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ssd 와 hdd 고르는 노하우

    ssd는 성능 저하 이슈가 있었던 840 Basic, 840 Evo 는 제외한 삼성 제품이라면 괜찮고 hdd는 wd면 무난합니다. OS 담을게 아니라서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스팀 게임 설치할려면 로딩을 고려해서 7200rpm가 좋습니다.
    -메인보드와 부품들 호환성 확인법
    오버를 고려하시는게 아니시라면 요즘은 당대에 나온 보드칩셋이라면 옛날처럼 막 가리지는 않아서 소켓하고 보드 레이아웃(이 문제는 저가형인 바이오스타급이 아니라면야 기본은 다들합니다) 정도만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근데 asrock ab350m-hdv 제품은 램 슬롯이 2개뿐이더군요 램을 추후에 증설하실 생각이 있으시면 1,2만원 더 투자하셔서 4슬롯으로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profile

    1. 냉정하게 게이밍 성능만 놓고 본다면 i3 <라이젠 5 ≒ i5 ≤ 라이젠 7 <i7 급입니다.  제가 벤치해봐도 그렇고, 다른 테스트에서도 비슷하게 나옵니다. http://itcm.co.kr/fieldtest/3579291

    http://www.pcgameshardware.de/CPU-Hardware-154106/Tests/Rangliste-Bestenliste-1143392/

    2017-05-21.png

     

    2. 개인적인 선호는 이렇습니다.

    메인보드 : ASUS, 바이오스 수준이 가장 높습니다.

    그래픽카드 : 엔비디아 10시리즈에선 아무거나 상관 없습니다. 어차피 성능 범위가 +-5% 안에 들어갑니다.

    램 : 삼성 번들램

    SSD : 삼성, 크루셜 

    HDD : 도시바

    파워 : 고가형은 시소닉 계열 보급형은 마이크로닉스, FSP. 

     

    3. SSD는 TLC/MLC 따위의 낸드 수명보다는 컨트롤러가 가장 중요합니다. 웬만하면 마벨 컨트롤러나 삼성 컨트롤러 들어가는 SSD가 좋습니다. 그래서 삼성하고 마이크론 크루셜, 일부 도시바 등등이 해당합니다. 개인적으론 MX300 무난하다 생각합니다. HDD는 성능은 차치하고 3년 생존성으로 판단한 불량률 지표에서 시게이트, 웨스턴 디지털, 도시바 3사중 도시바가 가장 낫습니다. 다만 좀 시끄럽다는 평이 있네요.

    drive-stats-2016-q1-failure-by-mfg.jpg

     

    4. 파워는 무거운 게 좋습니다. : ) 사실 그냥 정직하게 돈값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100W 만원 정도면 탈 없이 쓸 수 있습니다.

     

    5. 요즘에 규격은 거기서 거기인지라 인텔은 세대만 헷갈리지 않는다면 메인보드 내에서의 호환성 문제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그래픽카드가 점점 커지는 추세라 물리적으로 PC 케이스에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나 복병은 세로길이가 아니라 파워 케이블 때문에 옆판이 닫히지 않을 수 있어 가로길이도 신경써야 합니다. 고르신 구성에는 호환성 문제가 없습니다.

  • profile
    pjm4017 2017.05.21 09:41

    - 라이젠 vs 인텔?

    기본적으로 다중 작업에는 라이젠, 깡클럭은 인텔이 좋아서 게임용으로 사용됩니다만은 7700k 와 1700에서 좀 차이가 나지 i5 레벨에서는 라이젠이 좀 더 낫습니다.
    -ryzen 5 1600x 와 그냥 1600의 차이점 (1600x 가 3만원정도 더 비싸더군요)
    1600x 기본클럭이 3.6ghz~4.0ghz , 1600 3.2ghz ~3.6ghz 입니다. 배수락에 따라 차이가나는 인텔과 다르게 라이젠은둘다 오버는 가능하고 둘다 솔더링이 되어 있습니다.

    -파츠별 선호 브랜드

    개인적으로는 as 경험상 이엠택 제품이 가장 낫습니다. 가장 피해야할 수입사는 as 막장으로 유명한 제이씨현(피씨 디렉트와 함께 양대 기가바이트 수입사)입니다. 
    -파워 고르는 노하우?

    가격대비 성능 고려했을때 탑파워 슈퍼플라워 fsp 를 많이 씁니다.

    80plus 라는 인증 제도라는게 있는데 100% 부하가 일어났을때 몇퍼센트까지 버틸수 있느냐 라는 척도입니다. 스텐다드인 80% 시작해서 80+ 티타늄은  90% 까지 버틴다는걸 인증받았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한다면 검증된 메이커에서 80Plus 브론즈 이상을 추천드립니다.
     

    -ssd 와 hdd 고르는 노하우

    ssd는 성능 저하 이슈가 있었던 840 Basic, 840 Evo 는 제외한 삼성 제품이라면 괜찮고 hdd는 wd면 무난합니다. OS 담을게 아니라서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스팀 게임 설치할려면 로딩을 고려해서 7200rpm가 좋습니다.
    -메인보드와 부품들 호환성 확인법
    오버를 고려하시는게 아니시라면 요즘은 당대에 나온 보드칩셋이라면 옛날처럼 막 가리지는 않아서 소켓하고 보드 레이아웃(이 문제는 저가형인 바이오스타급이 아니라면야 기본은 다들합니다) 정도만 보면 될 것 같습니다.

     

    근데 asrock ab350m-hdv 제품은 램 슬롯이 2개뿐이더군요 램을 추후에 증설하실 생각이 있으시면 1,2만원 더 투자하셔서 4슬롯으로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profile
    do 2017.05.21 12:20
    파워가 복잡하군요.. r5 1600 부터해서 천천히 짜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profile
    S.T.E.E.L.N.A.I.L. 2017.05.22 18:59
    컴퓨터 살 거 아니지만 많은 도움이 되네요~ ㅠㅠ
  • profile
    styner 2017.05.21 09:51

    진짜 게임만 생각하신다면 제 생각엔 인텔이 좀 더 나을거 같습니다.  밴치마크를 여러개 봤는데 게임만 생각한다면 인텔이 좋더군요. 그 외에 다른걸 여러가지 하신다면야(방송, 인코딩 등등) 라이젠이고요. 

  • profile
    do 2017.05.21 12:22
    인텔도 많이 고민했지만 탭 많이 띄워놓는 편인지라 라이젠 선택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profile

    1. 냉정하게 게이밍 성능만 놓고 본다면 i3 <라이젠 5 ≒ i5 ≤ 라이젠 7 <i7 급입니다.  제가 벤치해봐도 그렇고, 다른 테스트에서도 비슷하게 나옵니다. http://itcm.co.kr/fieldtest/3579291

    http://www.pcgameshardware.de/CPU-Hardware-154106/Tests/Rangliste-Bestenliste-1143392/

    2017-05-21.png

     

    2. 개인적인 선호는 이렇습니다.

    메인보드 : ASUS, 바이오스 수준이 가장 높습니다.

    그래픽카드 : 엔비디아 10시리즈에선 아무거나 상관 없습니다. 어차피 성능 범위가 +-5% 안에 들어갑니다.

    램 : 삼성 번들램

    SSD : 삼성, 크루셜 

    HDD : 도시바

    파워 : 고가형은 시소닉 계열 보급형은 마이크로닉스, FSP. 

     

    3. SSD는 TLC/MLC 따위의 낸드 수명보다는 컨트롤러가 가장 중요합니다. 웬만하면 마벨 컨트롤러나 삼성 컨트롤러 들어가는 SSD가 좋습니다. 그래서 삼성하고 마이크론 크루셜, 일부 도시바 등등이 해당합니다. 개인적으론 MX300 무난하다 생각합니다. HDD는 성능은 차치하고 3년 생존성으로 판단한 불량률 지표에서 시게이트, 웨스턴 디지털, 도시바 3사중 도시바가 가장 낫습니다. 다만 좀 시끄럽다는 평이 있네요.

    drive-stats-2016-q1-failure-by-mfg.jpg

     

    4. 파워는 무거운 게 좋습니다. : ) 사실 그냥 정직하게 돈값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100W 만원 정도면 탈 없이 쓸 수 있습니다.

     

    5. 요즘에 규격은 거기서 거기인지라 인텔은 세대만 헷갈리지 않는다면 메인보드 내에서의 호환성 문제는 거의 없습니다. 다만 그래픽카드가 점점 커지는 추세라 물리적으로 PC 케이스에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나 복병은 세로길이가 아니라 파워 케이블 때문에 옆판이 닫히지 않을 수 있어 가로길이도 신경써야 합니다. 고르신 구성에는 호환성 문제가 없습니다.

  • profile
    Hollicforyou 2017.05.21 11:35 SECRET

    "비밀글입니다."

  • profile
    잼아저씨 2017.05.21 13:49 SECRET

    "비밀글입니다."

  • profile
    Hollicforyou 2017.05.21 14:20 SECRET

    "비밀글입니다."

  • profile
    do 2017.05.21 12:27
    감사합니다! 지금 견적 짜는 중인데 혹시 corsair 램이나 msi 메인보드는 어떤가요? 저가 거주하는 국가에서 특히 msi 인지도가 높네요.
  • profile
    잼아저씨 2017.05.21 13:53
    커세어는 도미네이터 램이 워낙 유명합니다만 일부 공랭 쿨러는 물리적으로 호환이 안됩니다. 라이젠용 메인보드는 어느 보드든 아직은 인텔만큼의 안정성을 보여주진 못하고 있습니다. 다만 MSI 메인보드의 램 호환성은 괜찮다는 평을 듣고 있네요.
  • profile
    S.T.E.E.L.N.A.I.L. 2017.05.22 19:00
    우리 멋진 잼아저씨님이 또 좋은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잘 봤습니다~
  • profile
    흐으으음 2017.05.21 10:55

    보통은 이런 글에 자세하게 쓰는 편인데 여기는 괴수분들이 너무 많아서. 저는 패스.

  • profile
    Hollicforyou 2017.05.21 11:32
    파워는 고가형 안텍 저가형 fsp 마닉
    하드는 wd추천
    파워는 뻥파워가 아닌걸 사셔야 합니다(+80plus인증 받은거)저가형은 정격이 표기보다 안나오는경우 꽤 있으니 자세히 보시길 바랍니다 젤 신경안쓰는데 젤 중요한게 파워입니다 터지는일이 없다면 젤 오래쓰니 투자하셔도 충분합니다
    파워 보드엔 아낌없이 투자하셔도 됩니다 +라이젠은 다음세대까지는 같은소켓으로 알고있는데 좋은보드 쓰시는것도 한가지방법입니다
  • profile
    do 2017.05.21 12:23
    보드 종류가 넘 많아서 고민중이였는데 좀 투자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profile
    next96 2017.05.21 11:49

    그래픽카드는 1060이라도 6GB로 바꾸시는게 나을 겁니다. 적당히라도

    몇년을 쓸 거라면 램이 좀 많은게 오래 씁니다.

  • profile
    do 2017.05.21 12:19
    그렇군요... 안그래도 찾아보다보니 그래픽카드가 같은 1060인데 6gb 인게 있어서 당황했었네요
  • profile
    do 2017.05.21 12:16

    모두 조언 감사합니다 지금 열심히 견적 짜보고 있습니다 ㅠ

  • profile
    주댕 2017.05.21 12:30
    본인이 컴터좀 만질줄 알고.. 문제가 생기더라도 인내심을 가자고 해결할 의지가 있다..하면 라이젠도 괜찮습니다(일단 램오버는 무조건해야하는 상황, 아니면 오버된 램을 사야됨..2666이상..) 그게 아니면 인텔.. 아무것도 모르신 분들 라이젠갔다가 다시 인텔가는 경우가 꽤 있죠..그만큼 라이젠이 소프트웨어 지원을 못받는건데..어쩔수없는 중소기업의 서러움이죠..
  • profile
    do 2017.05.21 12:32
    헉 그렇게 진입장벽이 높은 녀석이였습니까?! 그럼 7세대 i5로 갈아타야하려나요..
    컴퓨터는 이번에 처음 만져보는거라서요
  • profile
    주댕 2017.05.21 12:39
    지금까지 소프트웨어들이나 보드제조사들이 amd를 거의 버리고 있던 상태라서...초기에 비하면 많이 좋아졌는데 그래도 좀 자잘한 문제가 있는거 같습니다. 1년뒤에 나오는 다음세대는 괜찮을꺼 같긴한데..지금꺼는 살짝 베타같은 느낌이라서요..오버할지 모르시면 인텔가시는게 좋고..9월달에 인텔 신제품 나오면 판단해보시는것도 괜찮을꺼라고 봅니다..6c6t제품인데 i5랑 가격이 크게 안다를꺼라고 했거든요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게임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공지 ITCM <스팀그룹> 비공개 전환 안내 및 초대요청 2334 ITCM 08.24 115578 47
꿀팁 [운영자 인증] ITCM 꿀팁정보 모음 (2017/3/16) 33 코코넛먹자 08.05 117728 68
공지 ITCM 내부 규정 안내 71 file ZardLuck 02.05 97055 89
잡담 디아블로3 공돌이! 2 file TaTaMa 03.05 1384 2
소개 디아블로3 최신 2.2.2업데이트 패치 내용 7 에드힐스 02.23 1733 6
모집 OCGEM 디아3 클랜에 초대합니다! 11 나무노래 02.04 1896 3
잡담 디아블로3 2.2.0 PTR 서버 오픈 3 에드힐스 02.26 1389 2
잡담 저도 디아 시작했습니다 6 file 앵벌이 04.30 310 4
영상 레코르야만전사를 소개합니다. 6 최좀비 03.15 948 2
모집 [디아 클랜 이전 공지] ITCM 클랜으로 옮깁니다. 나무노래 03.23 577 3
모집 [디아 클랜 재이전 공지] 또 옮깁니다...ㅠ.ㅠ 7 나무노래 03.25 745 3
잡담 부두술사를 보면 캐리어가 생각나요 10 file 찌그만앙마 05.01 410 6
모집 ITCM 클랜원 모셔요~~ Medusa 05.01 111 2
잡담 패드로 하니 색다른 재미가 느껴지는군요. 5 부들맨 05.01 219 5
잡담 초보의 본의아닌 시너지. 7 file 에리지나 04.30 365 3
모집 [2.2패치기념]오씨겜(OCGEM) 디아3 클랜으로 초대합니다 5 나무노래 04.09 646 0
소개 시즌3가 시작되었습니다. 1 나무노래 04.10 408 2
잡담 (스포)디아블로의 로얄패밀리 ㄷㄷ 5 file heorm 10.26 532 3
잡담 야만 템 파밍 중인데 추억의 템이 나왔군요. 5 file FiveStar 10.14 97 6
잡담 최근 디아3만 하네요. 5 Fiello 05.04 309 4
잡담 디아3 6시즌 일단 만랩은 완성.. 2 file 세리오르 04.30 377 2
잡담 펫도 드랍이되는군요? 2 file Arishok 04.29 357 1
잡담 다시 달릴 때가 왔네요. 10 file 희드라 04.29 348 8
잡담 시즌 오픈 시간이 내일이 아니었군요... 5 Fowlox 04.29 239 2
스샷 피바람이 부는 알록달록 동산 14 file 찌그만앙마 04.29 957 4
잡담 뜬금 디아3 잡설 10 MistyGhost 10.07 822 6
영상 디아블로3 고블린 방 3 주리아이 05.29 805 2
영상 디아블로 꿀잼이네요 11 FAHRENHEIT 12.31 425 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39 Next
/ 1239
CLOSE

SEARCH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