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Do As Infinity - For the future

 

 

 

 

 

액션 게임에 푹빠져 있는 요즘, 최근에 너무 콜옵 위주의 게임만 하고 있는거 아닌가 싶어

여러 게임들을 건드려보곤 합니다. 하지만 왠지 익숙하지 않은 게임 방식과 뭔가를

또 새로 익혀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에 금세 손을 놓게 되죠. 재미를 추구하는 것과

새로운 도전과 경험. 이 두 가지 모두 챙기기 쉽지 않음을 느끼게 되네요. 

 

하지만 그런 도전들이 늘 실패하는건 아닙니다. 의욕이 앞서 구매한 게임들 중

일부 작품에 흥미를 붙이는데 성공해 엔딩까지 달려갔었던 경우도 있었죠.

그런 극히 일부의 게임들 가운데 Deponia 시리즈가 있었습니다.

 

포인트 앤 클릭 방식의 어드벤쳐 게임인 Deponia 시리즈를 처음 접해본건

13년 중순쯤이었는데, 당시 어크 시리즈를 무리하면서 정주행을 마쳤었던 터라

상당히 지쳐있었던 때였죠. 그래서 뭔가 가볍게 즐길 게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나머지

여러 게임들을 찾아보던 중 이 게임이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d51289309128948bbc74f086f2e789ca.jpg

 

엉뚱하며 유쾌하게 흘러가는 겉모습과는 다르게 퍼즐 난이도는 어려웠던 게임

 

 

 

만화같은 작화, 가벼운 분위기에 매력을 느껴 구매했었던 Deponia 시리즈.

킹스퀘스트7 이후에 오랜만에 건드려보게 되었던 포인트 앤 클릭 어드벤처 게임이라

재밌게 할 수 있을까? 어렵진 않을까? 하는 걱정은 있었고, 실제로도 오랜만에

이런 부류의 게임을 해봐서 많이 해매기도 하였죠. 퍼즐 난이도도 좀 있던 편이었구요.

 

그래도 쓰레기만 가득한 데포니아 행성을 탈출하기 위해 늘 발명품을 개발한답시고

말썽만 일으키는 민폐갑, 파괴왕이자 주인공인 'Rufus' 를 따라가며 진행되는 이야기가

상당히 재밌어서 끝까지 진행을 할 수 있게 되었죠. 후반부로 넘어갈 수록 이야기도

점차 흥미로워지지만, 재빠른 손놀림을 요구하거나 긴장감을 유발하는 구간이 거의 없어

가벼운 마음으로 즐기기 좋았습니다.

 

그래서 군 입대전에 2편까지(Chaos on Deponia)를 끝마치고 전역 후에

바로 3편(Goodbye Deponia)로 달려갈 수 있었죠.

 

 

 

 

 

20170401143925_1.jpg

 

Goodbye Deponia 발매이후 2년 5개월 뒤에서야 나오게된 후속작, Deponia Doomsday

시리즈의 끝을 암시했던 GD에 논란거리들이 아직 남아있었기에 팬들은 꽤 큰 기대를 걸었을 법 한데...

 

 

 

하지만 게임 속 퍼즐 난이도는 여전했기에 다시 2년 뒤에 해본 어드벤쳐 게임에

액션 게임에서 경험하지 못한 멘붕을 겪으며 게임을 진행해야만 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상식파괴급 퍼즐 난이도가 3편 종반부에서 정점을 찍었던 것 같네요.

 

3편을 마친 이후 박살난 멘탈을 붙잡으며 드디어 길었던 내 새로운 도전도

끝이구나 하면서 안도하였지만, 한편으론 영 찝찝한 부분들을 해소하지 못한

3편을 보고 이렇게 끝이 나는건가 싶어 아쉽기도 했습니다. 나x위키 설명을 보면

매스이펙트3 급 구성이 당신을 후려친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그 말을

부정할 수 없었던게 참 안타까웠어요.

 

그러다 작년, 갑자기 개발사에서 오랜 공백을 깨고 시리즈의 신작을 내놓았고

종결된 이야기를 어떻게 이어나갈지 궁금하기도 했던 저는 출시 후 몇개월을 참은뒤

저렴하게 판매하는 곳에서 게임을 구해 다시 이 게임세계에 들어갈 수 있었습니다.

 

 

 

 

 

20170507173247_1.jpg

 

20170507172450_1.jpg

 

전작에 비해 늘어난 미니게임 종류와 시간제한 퍼즐들

 

 

 

전작들의 구성과 흐름이 이젠 잘 기억나질 않지만, 4편에선 주제가 '타임루프' 인 만큼

전작에 비해 시간제한 퍼즐들이 여러군대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물론 제시간안에 못푼다고

해서 게임오버가 되지는 않아 다시 도전하는데도 별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퍼즐 난이도 또한 2편과 유사해서 그리 막히는 구간은 많지 않았어요.

물론 제 영어 실력이 이 게임을 완벽하게 이해할 정도가 아니라서 여러 문단을 놓쳐 몇 십분을

해매는 경우가 있긴 했지만요. 다만 상식을 가끔 넘어서야할 구간이 몇 있는데

아무래도 많은 분들이 특정 구간에서 막힐것 같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니, 하늘의 별을 보고 어떻게 손으로 딸 생각을 하죠? ㅋㅋㅋㅋ

 

 

 

 

 

20170503010147_1.jpg

 

20170503011400_1.jpg

 

20170504182305_1.jpg

 

20170504195751_1.jpg

 

20170505004621_1.jpg

 

20170505010220_1.jpg

 

20170505012331_1.jpg

 

20170507030313_1.jpg

 

20170507035332_1.jpg

 

20170507040139_1.jpg

 

20170507050335_1.jpg

 

20170507051214_1.jpg

 

20170507051748_1.jpg

 

20170507172255_2.jpg

 

20170507173312_1.jpg

 

20170507173522_1.jpg

 

20170507213417_1.jpg

 

20170507220342_1.jpg

 

20170508011715_1.jpg

 

20170508011932_1.jpg

 

20170508024401_1.jpg

 

20170508030015_1.jpg

 

20170508061203_1.jpg

 

20170508152405_1.jpg

 

20170508160509_1.jpg

 

20170510111704_1.jpg

 

20170510111839_1.jpg

 

20170510111859_1.jpg

 

20170510120401_1.jpg

 

20170510121600_1.jpg

 

20170510125052_1.jpg

 

20170510125115_1.jpg

 

20170510125217_1.jpg

 

 

 

여튼, 끈짧은 영어실력으로 이 게임을 다시 즐기려니 조금 힘들기도 했지만

엔딩까진 큰 어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었네요. 이야기도 전작들 못지 않게

꽤 흥미로웠고, 캐릭터들도 유쾌했고, 여전히 가벼운 마음으로

즐기기엔 좋았습니다.

 

다만 후반부의 구성은 개인적으로 별로였네요.

점점 분위기가 고조되는 후반부에서 게임 초반에 있었던

여러 의문들을 풀어나갈 비밀들이 드러나 이야기가 급속도로 빠르게 진행되는데

이에 반해 퍼즐 구성들은 단촐해져가 게임플레이가 단조로워지는 그 점은 매우 아쉬웠어요.

 

또한 이 게임의 끝마무리.

많은 팬들이 WTF을 외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유쾌함을 보고 시작했는데, 정반대의 결과를 보게되니까요.

 

해외 위키의 설명을 보면 ( http://tvtropes.org/pmwiki/pmwiki.php/Trivia/Deponia )

'Deponia Doomsday is pretty much one big fuck you to anyone who disliked the ending of Goodbye Deponia.'

대략 해석해보자면 'DD는 GD의 엔딩을 좋아하지 않았던 이들에게 거의 쌍엿 날리는 수준의 게임이다.'

정도로 나와 있는데 시리즈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이 말에 어느정도 동의할 수 있을거라 봅니다.

 

만약 이렇게 끝내게된다면 굉장히 아쉬울것 같아요. 개인적으로

주인공과 여성 주인공에게 안타까움을 느꼈는데 이게 후속작이 나온다고해서

해소되기보단 오히려 내용만 더 난잡해질것 같단 생각이 드네요. 그렇지 않아도

4편 내용이 시리즈에서 끼워맞추기 식으로 들어간 느낌도 강했고,

후반 내용이 상당히 산만하게 느껴졌는데, 후속작이 나온다면 또 어떨까

걱정이 앞서기도 합니다.

 

여튼, 이 게임 시리즈가 나온지 어느덧 4년 정도의 시간이 흐른 현 시점에서

이걸 끝마칠 수 있었네요. 좋아했던 한 게임 시리즈가 이렇게 마무리된건 아쉽지만

그래도 오랜만에 즐겼던 어드벤쳐 게임의 재미를 제게 알려주었던 게임이라

오래 오래 기억해낼것 같습니다. 

 

이젠 또 어떤 게임을 해봐야 할지 고민이 커지겠네요.

아직 만나보지 못한 게임들에게서 새로운 즐거움을 얻을 수 있을지

알기위해선 좀 더 주변을 살펴봐야 할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꽤 많은 일들이 있었던 수요일. 모두 편안한 맘으로 마무리 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p.s

 

 

MV5BMTQ2MzgzODcyMl5BMl5BanBnXkFtZTgwNDU3OTE0NDE@._V1_UY317_CR91,0,214,317_AL_.jpg

 

주인공 Rufus 의 성우 Kerry Shale

http://www.imdb.com/name/nm0787715/?ref_=ttfc_fc_cl_t22

 

이 게임의 주인공 루퍼스의 성우 Kerry Shale 분은 1958년으로

상당히 연배가 높으신 분이시더군요.  딱히 눈에 띄는 출연작은 없었지만

그래도 익살스럽고 장난스러운 연기에 즐겁게 게임을 즐길 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MV5BMjM5NDUyNzYzN15BMl5BanBnXkFtZTgwNzYzNzY4NTE@._V1_UX214_CR0,0,214,317_AL_.jpg

 

여주 Goal의 성우 Alix Wilton Regan

http://www.imdb.com/name/nm2542896/?ref_=ttfc_fc_cl_t19

 

여주의 경우엔 1986년 생으로 젊은편에 속하시며, 대표적인 출연작으로

Dragon Age : Inquisition 의 여성 주인공 목소리가 있습니다.

 

 

그외에 나머지 주목할만한 성우로는......

 

 

gizmo.jpg

Peter Marinker

http://www.imdb.com/name/nm0547707/?ref_=ttfc_fc_cl_t14

 

기즈모 - 주인공 루퍼스가 살던 동네에서 온갖 잡일들을 다 맡고 있었던 인물. 

http://de.deponia.wikia.com/wiki/Gizmo

 

탈러 - 위쳐3에서 트롤에게 구두를 만들고 있었던 전직 스파이

http://witcher.wikia.com/wiki/Thaler_(spy)

 

 

 

 

Doc.jpg

 William Roberts

http://www.imdb.com/name/nm0731681/?ref_=ttfc_fc_cl_t17

 

닥 - 의사로서 여주의 손상된 카트리지를 수리해주는 인물

http://de.deponia.wikia.com/wiki/Doc

 

베스미어 - 주인공 게롤트의 스승이자 늑대교단의 수장

http://witcher.wikia.com/wiki/Vesemir

 

 

이 게임의 최신 글
  1. Build your own Sizzling Bundle *9
  2. The Humble Daedalic 15th Anniversary MEGA Game Bundle *8
  3. Build your own Spring Bundle *6
  4. Deponia Complete Bundle *12
  5. Gamesplanet SUMMER SALE #2 *21
글쓴이 NAMENAME님의 최신글
  1. 2025-03-01 04:34 여러 이야기 > 문뜩 떠오른 콜 오브 듀티의 영화 '블랙 호크 다운' 내용들 *4
  2. 2021-10-24 08:57 여러 이야기 > [41.5MB] 발열과 노트북. 그리고 Hello, 게비스콘 World! *5
  3. 2021-10-20 03:22 여러 이야기 > 게임 스크립트, 개발자 주석, E3, 패애애닉 *6
  4. 2021-08-28 19:50 여러 이야기 > [스압] MW1R(2016)에 준비되어 있는 명언들 *8
  5. 2021-08-28 18:47 여러 이야기 > 협동전 도전 과제 달성을 위한 5분의 가상 친구 *9

TAG •

Who's NAMENAME

profile
Prev 나만 스트레스 받을 수 없다!! 나만 스트레스 받을 수 없다!! 2017.05.10by 위르노 2017년 직장인 필수 신상 아이템! Next 2017년 직장인 필수 신상 아이템! 2017.05.10by kerakera

Articles

1205 1206 1207 1208 1209 1210 1211 1212 1213 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