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OCer 입니다. 얼마 전 부터 PC 관련 리뷰는 차츰 줄이고 요즘은 자동차 관련 제품들을 꾸준히 올리고 있었는데요. 제 필명인 OCer 의 기원(?) 은 원래 OverClocker 입니다. 최근에는 오버클러커로서의 활동을 안하고 있지만 2000년도 초반에만 해도 파코즈, amdmania(구 nowpug) 등에서 오버클럭을 즐기는 지인들과 함께 경쟁하기도 하고, 오버클럭 관련 정보 공유를 했었는데요. 하나둘씩 오버클럭을 접다보니 저 또한 그렇게 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제가 즐기던 오버클럭은 실사용 클럭을 넘어선 수냉 쿨링으로의 한계 클럭까지 뽑아내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그때에도 극랭(드라이아이스, 질소 냉각 등) 유저들이 있었으나, 저는 그것까지는 하지 않았고, 냉동기를 개조하여 사용한 수냉쿨링 까지는 했었습니다. 지금도 파코즈에는 저의 오버클럭기들이 많이 있네요. [관련 링크 : 인텔] / [관련 링크 : AMD]

 

사실 저는 AMD 마니아였습니다. AMD 를 처음 알고 써본 건 써러브레드가 처음이고, 그 뒤 바톤, 뉴캐슬 등으로 이어지며 마지막에 써본 건 페넘2 인가 데네브인가.. 기억이 가물가물하네요. 그 뒤로는 인텔만 쭈욱 쓰고 있는데, 현재는 스카이레이크 6700K 을 4.6Ghz 로 오버클럭하여 실사용한지 2년이 지났는데, 마 전부터 amd 의 희망이 보이기 시작하더군요. 

 

2645864758D67031341482

 

그것은 바로 '라이젠' 이라는 프로세서였습니다. 종류가 상당히 많고 정말 오랜 기간동안 침묵해온 AMD 에서 나온 프로세서여서 그런지 저 또한 관심이 많이 갔었는데요. 그동안 하드웨어 관심을 끊고 살아온 저를 다시 AMD 유저로 만들 수도 있을 만큼 구미가 당기는 제품이었습니다.

 

그런 제품을 다행히 운 좋게 필테에 선정되어 사용해볼 수 있게 되었고, 앞으로 관련 정보들을 블로그 및 SNS 에서 소개할 수 있게 됐습니다. 필테는 닥터몰라 라는 하드웨어 커뮤니티에서 선정됐고 [관련 링크] 같이 사용할 메인보드는 아직 라이젠이 어떤지는 몰라서 적당한 것을 고르다 보니 애즈락 AB350 GAMING K4 가 눈에 띄었습니다. 우선 리뷰로 부담없이 이것저것 테스트 해보고, 마음에 든다면 스카이레이크 i7 6700K 를 정리하고 좀 더 상위 보드로 실사용 해볼 생각 입니다.

 

260BAC3458D66EB21D400C

 

그럼 첫번째 글로, 간략히 라이젠과 ASRock AB350 GAMING K4 에즈윈 의 개봉기부터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253DDC3F58D66EB21EF231

 

이번에 필테에서 대여된 AMD 라이젠 프로세서는 라이젠 7 1700 입니다.

 

277C2F4158D66EB2075426

 

8코어에 인텔의 HT(Hyper Threading) 처럼 유사한 기능을 지원하여 16 쓰레드를 지원합니다. 다음 리뷰에서는 인텔의 하이퍼쓰레딩과 비교하여 얼마나 성능 향상이 있는지 비교해볼 예정 입니다. 그리고 인텔의 터보 부스트와 역시 비슷한 기능이 들어갔는데요. Precision Boost 라고 해서 기본 3Ghz 에서 최대 3.7Ghz 까지 오버클럭이 되는군요. 먼저 사용하고 있는 유저들의 오버클럭 사용기를 보니 1.35v 에 4Ghz 가 들어가면 오버가 잘된다고 보면 될 정도였는데 제가 오버클럭 했을 때는 얼마나 올라가줄지 기대가 됩니다만.. 사용하고 있는 수냉 자켓이 아직 설치가 안되는 관계로 그것부터 빨리 해결해야 할 것 같습니다.

 

245C883758D66EB2025F3F

 

그럼 라이젠 1700 패키징을 개봉합니다! 개봉하면 가장 먼저 AMD 로고가 부착된 커다란 쿨러가 눈에 들어오네요. 내용물을 꺼내보면..

 

2243273358D66EB2160594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쿨러는 예전 AMD 정품 쿨러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매우 커다란 팬과 히트싱크를 지원하며, CPU 는 따로 종이 패키징에 담겨져 있네요.

 

225B163758D66EB203A178

 

그리고 다시 쿨러를 살펴보면 케이블이 좀 많이 들어 있는데요. PWM 4핀 말고도 하나 더 들어 있는데..

 

26439C3E58D66EB335A9EA

 

이건 팬에 연결하는 RGB LED 케이블 입니다. 라이젠 메인보드들은 모두 RGB LED 기능이 들어가 있어서 이와 연동하여 LED 색상을 마음대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13A374658D66EB30F1A86

 

이 RGB LED 케이블의 커넥터는 팬 측면에 포트가 있어서 여기에다 잘 꼽으면 됩니다.

 

2221C93758D66EB335D337

26470A3B58D7A87E0550F0[팬을 제거한 모습. 쿨러 베이스 아님]

 

히트싱크 베이스를 살펴보면, 500원짜리 보다 더 큰 구리가 박혀 있는데, 완전 통구리는 아니지만 AMD 바톤 시절의 구리 쿨러가 생각날 만큼 성능은 좋아 보입니다.

 

267C964C58D7A87E04D873

 

그리고 정품쿨러의 팬은 쿨러마스터 제품이 사용되었네요. 나름 저소음의 고성능 팬 입니다.

 

2231FE3858D66EB30C3CAC

 

쿨러 장착 방식은 인텔의 초코파이 쿨러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푸쉬핀 같지만 자세히 보면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입니다. 중간에 스프링도 들어가 있어서 어느정도 장력 조절도 가능해 보여서 마음에 드네요.^^

 

다음은 CPU 를 살펴볼게요.

 

26057A3A58D66EB331B8F8

2675BC3D58D66EB3369ECA

 

CPU 는 또 다른 박스에 담겨져 있는데요. 라이젠 로고가 있는 스티커도 들어 있습니다.

 

2525CB4958D66EB31FE747

 

그리고 신기한 건 라이젠 CPU 스프레더 표면에 라이젠이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저는 이것이 실제로 공개되기 전 샘플 제품인 줄 알았었는데, 리테일 제품에도 이렇게 되어 있어서 살짝 놀랐답니다.

 

230A793458D66EB319F51C

 

다음은 애즈락 AB350 GAMING K4 메인보드 입니다. 유통사는 에즈윈 것으로 했구요. FATAL1TY 제품이라 그런지 박스조차 레드 컬러가 적용되었네요. 라이젠을 지원하는 메인보드 칩셋은 AMD X370 과 B350 이 있는데, 모델명에서 알 수 있듯이 B350 칩셋이 탑재됐습니다.

 

244E134258D66EB302CDA9

 

박스 후면에는 여러 특징과 스펙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데, 메인보드 레이아웃을 살펴보면서 소개하기로 하겠습니다.

 

234D9D3558D66EB30A1BA8

273A914F58D66EB3058CCB

 

구성품은 익스트림 시리즈와 크게 다르지 않네요. 개인적으로 익스트림 시리즈가 가성비가 가장 좋다고 생각됩니다만, 크게 오버클럭을 하지 않을 거라면 조금 더 저렴한 게이밍 시리즈도 괜찮을 것 같네요.

 

2404A13C58D66EB30E67AF

 

사용 가능한 CPU 는 라이젠 시리즈와 A 시리즈인 APU (브리스톨 릿지) 를 지원합니다.

 

27727A4858D66EB42D7E6B

 

전원부는 9페이즈의 디지털 방식의 전원부가 지원되며, 솔리드 캐패시터가 탑재되었습니다.

 

240CC34358D66EB41105EB

 

백 패널에는 여러개의 입출력 포트가 있네요. 키보드/마우스 겸용의 PS2 방식과 USB 2.0 포트 두개, 그리고 RGB, DVI, HDMI 포트가 있고(APU 사용하면 사용 가능) USB 3.1 TYPE-A, TYPE-C, USB 3.0 포트가 지원되며, 리얼텍 기가비트랜과, Realtek ALC892 Audio Codec 이 탑재된 7.1 채널 HD 사운드를 지원합니다.

 

2720DC4F58D66EB41D2DAC

 

예전에는 PCB 색상이 고급 보드면 완전 블랙이거나 갈색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요즘은 여러 색상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ASROCK AB350 GAMING K4 메인보드는 매트 블랙 색상에 게이밍 라인인 것을 강조하기 위해 레드 색상이 포인트로 조금씩 들어가 있습니다.

 

2415733858D66EB427B4FB

 

PCB 뒷면 배선도 깔끔하게 되어 있네요. 기본적으로 백브라켓이 결합되어 있는데, 라이젠의 서밋릿지 기본 쿨러를 사용하려면  CPU 소켓 주변의 리텐션 가이드를 분리하고 나서 해야 합니다.

 

2372F83858D7A7C91F8ECB

 

이번 라이젠 보드에서 적용된 PCI-E 슬롯의 특징 중 하나인 스틸 슬롯 입니다. 기존 슬롯보다 내구성이 강화된 것이 특징 입니다.

2776D03858D7A7C91BA780

2460FF4058D7A7C92B4B6F

 

차례대로 Ultra M.2 커넥터, M.2 커넥터.

 

 

[내용 계속 보기 : 필테 지원 받은 사이트로 이동 됩니다. 볼거리가 많으니 한번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글쓴이 OCer님의 최신글
  1. 2017-04-03 20:22 회원 리뷰 > 라이젠 1700 vs i7 6700K, AMD 이젠 쓸만합니다
  2. 2017-03-27 14:11 회원 리뷰 > 라이젠 1700 서밋릿지 + ASRock AB350 GAMING K4 에즈윈 개봉기
  3. 2016-07-21 10:18 회원 리뷰 > 맥스엘리트 맥스웰 600W 파워 서플라이 *2
  4. 2016-05-31 21:13 회원장터 > DDR4 메모리 여러가지 팝니다. *1
  5. 2016-05-31 09:14 필테 등록소 > OZONE 3K NEON 사용 후기 *2

Who's OCer

profile

오버클러커 OCer. 이제는 리뷰어 OCer 입니다. 

블로그 : http://ocer.kr

▼ 펼쳐 보기
Prev 봄이다!! 나가서 사진을 찍어자!! GOPOLE REACH SNAP 봄이다!! 나가서 사진을 찍어자!! GOPOLE REACH SNAP 2017.03.29by 비피 독특한 텍스트 장르 게임. Next 독특한 텍스트 장르 게임. 2017.03.23by jask****

Articles

3 4 5 6 7 8 9 10 11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