_DSC8279.jpg

 

ASUS MAXIMUS VIII GENE Full Picture

http://itcm.co.kr/freegallery/322129

 

150812131141.jpg

ASUS MAXIMUS VIII GENE 마더보드의 UEFI BIOS 화면입니다.

 

오버클럭킹에 특화된 최신 BIOS 0004, 0060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시고, Z170 칩셋 드라이버 및 MEI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OS 세팅을 합니다.

최신 OS인 windows10 or 8.1 추천.

 

ASUS MAXIMUS VIII GENE

 

BIOS

MAXIMUS-VIII-GENE-ASUS-0004.zip

MAXIMUS-VIII-GENE-ASUS-0060.zip

 

Software Tool

Chipset.zip

MEI.zip

 

TurboV_Core_1.00.34.zip

MemTweakIt.zip

 

 

150812131154.jpg

Ai OverClock Tuner

오버클럭킹 모드를 선택하는 항목으로 옵션으로 AUTO / Manual / X.M.P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오버클럭킹을 위해 수동모드(Manual)로 선택을 해야 되며, X.M.P 모드의 경우, 위와 같이 X.M.P를 지원하는 메모리를 사용할 때 나타나게 됩니다. 테스트 시스템에서는 ESSENCORE KLEVV CRAS DDR4 8G PC4-22400 CL16 RED (4Gx2)  메모리가 사용되었습니다.

 

150812131201.jpg

X.M.P 활성.

 

150812131224.jpg

BCLK Frequency

기본 100Mhz, 최대 650Mhz까지 설정 가능하며, 스카이레이크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Z170 마더보드에서는 기존 하스웰보다 더 높은 BCLK 오버클럭킹을 할 수 있습니다.

 

BCLK : 350Mhz는 공기냉각으로도 쉽게 오버클럭킹이 가능.

 

150812131235.jpg

ASUS MultiCore Enhancement

인텔 터보 주파수 Load 를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설정으로, 오버클럭킹시 이 옵션은 "Disabled" 로 설정합니다.

(일반적은 Non-K 버전이나 오버클럭킹 없이 사용할 때에는 CPU 터보클럭의 상태를 체크하여 최대 배율을 유지시키는 기능입니다.)

 

150812131244.jpg

CPU Core Ratio

CPU 배율 모드를 설정하는 항목으로 Auto (Default) / ALL Cores / Per Core 모드가 존재합니다.

ALL Cores 모드로 선택 시, CPU 코어의 모든 배율을 동기화하여 한번에 조절할 수 있으며, Per Core 모드는 각 코어별로 배율 설정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인 오버클럭킹 환경에서는 "Sync ALL Cores" 를 선택.

 

150812131253.jpg

"Sync ALL Cores" 를 선택하면 CPU 배율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150812131305.jpg

BCLK Frequency : DRAM Frequency Ratio

메모리 레퍼런스 BCLK클럭(배율) 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본값 100MHz / 133MHz 배율이 존재합니다. 

메모리 레퍼런스 BCLK클럭에 따라서 메모리 디바이더의 차이가 있지만, 기본설정(AUTO) 설정 시, 모든 메모리 디바이더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50812131318.jpg

DRAM Frequency  

메모리 주파수를 설정하는 항목으로 BCLK클럭의 조합으로 최적의 메모리클럭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구성 옵션으로는 최소 800Mhz 부터 최대 4266MHz 까지 주파수 설정이 가능하고, BCLK 조합을 통해 더 높은 메모리 주파수도 가능합니다.

 

150812131324.jpg

Xtreme Tweaking

일부 벤치마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옵션으로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메모리 및 CPU 전압을 조금 더 올려야 합니다. (퍼포먼스 세팅)

 

150812131328.jpg

TPU

해당 기능은 CPU 및 메모리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향상시켜주는 기능입니다.

기본 - keep current settings

 

TPI I - 공기냉각 사용자를 위한 오버클럭킹

TPU II - 수냉 사용자를 위한 오버클럭킹

 

사용자 시스템 환경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오버클럭킹 유저라면 현재 상태를 유지합니다. (keep current settings)

 

150812131334.jpg

EPU Power Saving Mode 

ASUS 마더보드에 내장된 EPU칩셋을 이용한 최대 절전모드를 활성화 합니다. (오버클럭킹 시 Disabled)

 

150812131340.jpg

CPU SVID Support

SVID (직렬 전압 식별) Auto / Enabled / Disabled 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CPU와 마더보드의 PWM 컨트롤러의 전원, CPU VID 전압의 변화를 구현하는 기능으로 기본적으로 AUTO나 Enabled 으로 사용되지만, 오버클럭킹에서는 해당 옵션을 해제합니다.

 

150812131349.jpg

DRAM Timing Control

 

150812131354.jpg

DRAM Timing Control

메모리 오버클럭킹의 경우, 사용자의 메모리 타입, 칩 모튤 특성에 따라 세팅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신의 메모리 타이밍, 클럭에 맞춰 세팅해 주시기 바라며, 메모리의 X.M.P가 적용된 오버클럭킹 메모리를 사용하면 더욱 편리하게 오버클럭킹을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스크린샷은 X.M.P를 적용.

 

 

일반적인 DDR4 메모리타이밍 15-15-15-35 2T 세팅 방법

 

CAS# Latency (tCL) : 15

RAS# to CAS# Delay (tRCD/tRP) : 15

RAS# Active Time (tRAS) : 35

DRAM Command Rate : 2T

 

Row Refresh Cycle Time (tRFC) : 높은 메모리클럭을 위해서는 이 옵션을 크게 잡아주셔야 합니다. 280 ns 이상. 

 

150812131402.jpg

Digi+VRM Power Control 

CPU관련 디지털 PWM 전원관리 옵션으로 Load-Line, Phase Mod, 과전휴 보호 설정 등 다양한 전원관리 옵션을 세팅할 수 있습니다. 

 

전력 제한 및 최대 전류등을 설정하는 항목으로 일반적인 오버클럭킹 시,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디폴트값으로 세팅하며, 익스트림 오버클럭킹에서는 높은 CPU클럭과 많은 전력, 전류가 인가되기 때문에 위 전압제어를 높게 세팅합니다. (Extrem 추천)

 

150812131409.jpg

CPU Load-line Calibration

CPU를 로드시, 안정적인 전압을 교정하는 옵션으로 Lv1 ~ Lv7 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테스트 결과, ASUS MAXIMUS VIII GENE 마더보드에서는 Lv6 설정이 가장 안정적인 전압을 보였습니다.

 

150812131425.jpg

Internal CPU Power Management

인텔 스피드 스텝, 터보 모드, 하이퍼스레딩(지원 CPU i7) 및 코어설정, CPUID 값 사용 유무, 전력관리 옵션 C-State, C1E  등등... CPU에 관련된 모든 항목을 세팅할 수 있습니다.

 

Long Duration Package Power Limit

Package Power Time Window

Short Duration Package Power Limit

CPU Integrated VR Current Limit

 

위 옵션들은 전력 제한 및 최대 전류 등을 설정하는 항목으로 일반적인 오버클럭킹 시,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디폴트값으로 세팅하며, 익스트림 오버클럭킹에서는 높은 CPU클럭과 많은 전력, 전류가 인가되기 때문에 위 전압제어를 높게 세팅하여 CPU 주파수와 전력 제한에 따라 오버클럭킹이 실패하는 부분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150812131434.jpg

Tweaker's Paradise

해당 메뉴에서는 오버클럭킹 트윅에 관련된 세부적인 전압 세팅이 가능한 페이지로, 오버클럭킹에 필요한 몇 가지 항목들을 살펴보겠습니다.

 

BCLK Spread Spectrum

높은 BCLK 오버클럭킹을 위해서는 스펙트럼 확산 EM 기능을 해제합니다.

 

DRAM VTT Voltage

메모리 오버클럭킹에 도움이 되는 VTT 전압은 메모리 전압의 절반으로 설정하는게 좋으며, 메모리 모듈에 따라서 적절한 전압값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

DRAM Voltage : 1.5v

DRAM VTT Voltage : 0.75v or (Auto)

 

DMI Voltage

DRAM 메모리 오버클럭킹에 관련된 관계를 갖지만, 일반적인 오버클럭킹 환경에서는 AUTO 설정으로 마더보드가 자동으로 가장 적합한 전압을 설정하며, 극한의 오버클럭킹에서는 콜드버그를 없애기 위해 1.37v의 전압을 필요로 합니다.

 

Core PLL Voltage

내장 IGPU의 전압을 설정하는 항목으로, 공기냉각에서는 최대 1.5v이상을 설정하지 않습니다. 또한, 익스트림 오버클럭킹에서는 콜드버그를 없애기 위해 1.8v의 전압을 필요로 합니다.

 

150812131441.jpg

PLL Bandwidth

높은 BCLK 설정을 위해서는 높은 PLL 대역폭이 필요로 합니다. Lv1부터 최대 Lv10까지 설정할 수 있으며, BCLK : 350MHz를 도달하기 위해서는 lv5 이상의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150812131501.jpg

CPU Core/Cache Current Limit Max

높은 CPU / Cache 주파수를 얻기 위해 최대 전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0.25A 단위로 최대 255.5A까지 설정 가능.

 

CPU Cache Ratio

CPU Cache 배율을 설정하는 항목으로, CPU 배율에 200Mhz ~ 400MHz 낮은 설정을 추천합니다.

 

스카이레이크 부터는 CPU와 Cache 전압이 동기화되어, 독립적인 전압 설정이 불가능하며, CPU클럭과 Cache클럭을 동기화할 경우에는 높은 CPU 전압을 요구합니다.

 

예)

CPU Ratio : 45

CPU Cache Ratio : 43

 

150812131511.jpg

CPU Core / Cache Voltage

CPU Core / Cache의 전압 모드를 설정하는 항목으로, AUTO / Manual / Offset / Adaptive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인텔 하스웰 프로세서 or 스카이레이크에서 지원하는 방식으로 Adaptive 모드로 사용 시, 오버클럭킹 후에도 IDLE 상태에서 CPU전압과 클럭을 다운시켜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으며, Manual 모드로 사용 시, IDLE 상태에서 CPU 전압과 클럭을 고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오버클럭킹에서는 Manual 모드를 선택하여, CPU Core / Cache Voltage Override 에서 CPU / Cache 전압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150812131524.jpg

CPU Core Voltage Override

CPU Core / Cache 전압을 설정하는 항목이며, 4.5GHz 오버클럭킹에서 i7-6700k는 1.25v~1.3v의 전압을 요구하며, i5-6600k는 1.2v~1.25v의 전압이 필요합니다. 해당 전압 값은 사용자의 프로세서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오버클럭킹 실패 시 해당 전압을 조금 더 인가하시면 됩니다.

 

전압 인가 단위는 0.025v 단위로 올려주시면 됩니다.

 

DRAM Voltage 

메모리 전압을 설정하는 항목으로, DDR4 메모리의 기본전압은 AUTO 1.2v

오버클럭킹시 1.5v 이상 설정은 권장하지 않으며, 1.5v 이상 설정 시, 메모리의 패시브 쿨링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CPU VCCIO Voltage / CPU System Agent Voltage(VCCSA)

스카이레이크의 가장 큰 개선 중의 하나인 메모리 오버클럭킹에 도움이 되는 전압으로, 두 가지로 VCCIO와 VCCSA 전압을 뽑을 수 있습니다.

 

약 VCCIO / VCCSA 전압 1.15v 최대 메모리 주파수 3400Mhz ~ 3500Mhz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전압이며, VCCIO / VCCSA 전압을 최대 1.25v이상 인가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일부 익스트림 오버클럭킹에서는 메모리주파수 4000Mhz와 1.3v의 전압을 필요로 합니다.  

 

PLL Termination voltage

높은 BCLK 설정을 위해서는 높은 PLL 대역폭과 PLL 전압을 요구합니다. 가이드 중앙에서 설명한 PLL Bandwidth lv5와 PLL Termination voltage 1.45v를 인가하면 매우 쉽게 BCLK : 350Mhz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필자의 경우, PLL Bandwidth lv6와 PLL Termination voltage 1.6v로 공기냉각에서 BCLK 400MHz의 결과를...

 

11870733_926343170740240_8110456773767780452_n.jpg

 

PCH Core Voltage

칩셋에 대한 전압 설정으로 대부분 K 프로세서에서는 BCLK 오버클럭 보다는 배율 오버클럭킹이 간단하기 때문에 기본설정으로 사용하며, BCLK 오버클럭킹에서는 약 1.15v의 전압을 인가합니다. PCH 전압을 너무 많이 인가하면 SATA 포트의 고장 원인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CPU Standby Voltage

CPU의 대기 전압을 설정하는 항목으로, 일반적인 오버클럭킹에서는 AUTO설정이 적당하며, 높은 주파수의 오버클럭킹에 세팅된 CPU Core Voltage 보다

약 0.2v 낮은 설정을 권장합니다.

 

예)

CPU Core Voltage : 1.55v

CPU Standby Voltage : 1.35v

 

 

ASUS MAXIMUS VIII GENE OverClocking

 

Intel Core i5-6600K @ 4.5GHz OC

DRAM Clock : 3320Mhz CL14-16-16-28 1T

 

_DSC8280.jpg

 

screen004.jpg

CPU-Z 정보

 

screen001.jpg

Intel XTU

 

screen002.jpg

Cinebench - R15

 

screen003.jpg

HWBOT Prime

 

 

OverClocking Bios setting

 

Frequency:
CPU Ratio: 56x
CPU Cache Ratio: 54x

BCLK : 80.36MHz 
 

Memory:

CAS# Latency (tCL) : 14

RAS# to CAS# Delay (tRCD/tRP) : 16

RAS# Active Time (tRAS) : 28

DRAM Command Rate : 1T

Row Refresh Cycle Time (tRFC) : 278

 

Voltage:
CPU Core/Cache: 1.22v

DRAM: 1.45v

VCCIO: 1.15v

VCCSA: 1.175v

PCH: 1.1v

 

CPU Load-line Calibration: Lv6

SVID Support : Disabled

ASUS MultiCore Enhancement : Disabled

 

 

Intel Core i7-6700K @ 6.5GHz OC Ln2 Cooling

 

20150811_140819.jpg

 

제목 없음.jpg

 

http://valid.canardpc.com/dghxya

 

 

page.jpg

 

page1.jpg

 

글쓴이 님의 최신글
  1. 2016-06-16 11:00 정크게시판 > 테스트 *1
  2. 2016-06-07 14:11 이야기 > ITCM - 인텔 Broadwell-E 리뷰 *3
  3. 2016-06-07 09:24 회원 리뷰 > Intel i7-6900K(Broadwell-E) 프리뷰 *14
  4. 2016-06-07 09:24 정크게시판 > i7-6900K(Broadwell-E) 프리뷰
  5. 2016-05-31 14:43 회원 리뷰 > ASRock B150M PRO4/HYPER 디앤디컴 - 오버클럭킹 프리뷰 *6

TAG •

Who's nameGT

OC LAB - NAMEGT

▼ 펼쳐 보기
Klevv 4G vs Samsung 4G 가성비 대결!!! Next Klevv 4G vs Samsung 4G 가성비 대결!!! 2015.07.29by nameGT

Articles

1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