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defender는 지속적으로 asf를 바이러스로 보고 있군요.
스팀 측에서 ms 측에 asf를 바이러스로 인식해달라고 요청을 하지 않는 이상
지속적으로 멀웨어로 잡힐 수 없다고 보여지는군요.
아니면 진짜 바이러스던지 말이죠
- 2024-11-13 22:33 여러 이야기 > 험블번들 99달러 이벤트 작년 언제 했는지 아시나요? *5
- 2023-11-22 09:33 여러 이야기 > BF 구매 마감 *2
- 2023-07-03 02:04 여러 이야기 > 스팀덱 스위치 보유하게 되네요. *6
- 2023-05-30 18:04 여러 이야기 > 스팀 여름 세일 일정 나왔나요? *4
- 2023-01-25 19:42 여러 이야기 > 미드나이트 선즈 47%까지 나왔네요. *6
Who's GREENLIGHT

NEXT..
M3 PRO MAX..
-
-
ASF는 github에 올려진 오픈소스 프로젝트라서 누구나 소스를 살펴볼 수 있고
릴리즈에서 commits 부분을 누르면 이전 릴리즈로부터 어떤 부분이 변경되었는지 나옵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의 눈을 피해 어떤 악의적인 코드를 소스 코드 내에 집어넣기는 힘듭니다.
영 못 믿겠다 하면 직접 소스 받아서 빌드할 수도 있구요.
ASF가 C#으로 만들어졌는데
MS 닷넷 프레임워크 관련 dll 파일과 asf 를 단일 실행 파일로 합치기 위해서
il repack 이라는걸 사용해왔던 모양입니다.
이 역시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만 이것이 오진을 일으키는 부분이라
ASF 개발자 역시 il repack 개발자에게 이슈를 남겼더군요.
https://github.com/gluck/il-repack/issues/152
오진 보고가 몇 번 더 있자 오진을 피하기 위해서 il repack 에서 역시 오픈소스인 libz로 바꿨던데
https://github.com/JustArchi/ArchiSteamFarm/releases/tag/2.1.1.8
https://github.com/MiloszKrajewski/LibZ
새로운 리팩 방식이 호환되지 않아서
서비스로 작동하게 해주는 asf-service.exe 파일이 따로 분리됐다고 쓰여있었던거 보면
asf-service.exe 에는 여전히 오진 가능성이 있는 il repack 을 사용하나보군요.
https://github.com/JustArchi/ArchiSteamFarm/releases/tag/2.1.1.9
리팩을 아예 안하면 오진 문제는 해결이 되겠지만
mono를 이용해서 리눅스나 맥OS 등에서도 실행할 수 있게 하려면 저 과정이 필요한 모양입니다.
virustotal.com 에 윈도우 디펜더 등이 잡는 파일을 올려보면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나옵니다.
https://virustotal.com/ko/file/cca25da02624481bd1b258c4a7b3cd883abf8cc5ae0a08f978f45c31870dd589/analysis/1468864166/
-
뭔가 대단합니다ㄷㄷㄷ;;
전 ASF 안 잡던데요.
불편하시면 디펜더에서 예외항목 지정하고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