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 : http://iyd.kr/697



현재 근황을 글로 옮겨 보자면, (이미 11월이라 이름붙이기엔 너무 늦어버린) 11월 CPU차트 막바지 작업이 제 일과의 알파이자 오메가이지 싶습니다. 늦어도 12월 첫째 주 중에는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이번 차트에서는 그간 이미 두 번이나 광고했듯 다이렉트X 기반 게임성능 차트와 맨틀 차트가 따로 제작됩니다. 하여 맨틀을 지원하는 게임들을 별도로 추려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그 중에는 지난 달 출시된 시드 마이어의 문명 : 비욘드 어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맨틀의 적용이 큰 효과가 있을지 의문시되던 대표적인 타이틀인지라 지난달 초 AMD의 데스크탑 그래픽 프로덕트 매니저인 데본 넥커척과의 인터뷰에서도 관련된 질문을 던진 바 있으며, 출시되자마자 바로 테스트하리라 마음먹고 벤치마크 시나리오에 전격 편입시키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상당부분 테스트가 끝나, 간단히 결과를 소개할 겸 이 게임에서의 맨틀 적용법과 벤치마크 해석법(?)에 관해 글을 남겨 봅니다.


여담이지만, 맨틀 차트는 이번에 첫 선을 보이게 되었는데 등장하자마자 베타버전 취급을 받게 될 것 같습니다. 한창 작업 도중인 11월 18일에 새로운 맨틀 지원 타이틀인 드래곤에이지 인퀴지션이 출시된 데 이어, 지난주 싱가폴에서 열린 Future of Compute 행사에서 퓨쳐마크 CEO가 맨틀을 지원하는 3DMark의 새로운 Feature Test의 등장을 예고한 바 있기 때문입니다. (가제 "Farandole")


아무튼. 본론으로 들어가 볼까요.


2614C13D5477AE652BA5A4


문명 설치폴더에 들어가면 실행파일이 두 개 있습니다. 작명이 너무 직관적이라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죠.

맨틀 모드를 실행하는것 자체는 더블클릭을 할 줄 알면 누구든 할 수 있을테니, 여기서는 벤치마크 방법을 소개하려 합니다.


일단 윈도우키 + R키를 눌러 "실행" 창을 띄웁니다.


26170A3D5477AE662A7EBC


그리고 실행파일 경로를 입력한 뒤 그 뒤에 -benchmark 페리미터를 붙이면 벤치마크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그러나 페리미터만 붙인다고 결과를 볼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 뒤에 텍스트파일 이름을 입력해 주면 같은 이름의 텍스트파일이 생성되어 그 안에 벤치마크 결과가 저장됩니다. 저장되는 값은 매 프레임마다 각 프레임을 그리는 데 소요된 시간, 즉 프레임타임값입니다. 단위는 밀리세컨드(ms - 1천분의 1초)입니다.


2606003D5477AE6630E5E1


저걸 그대로 올렸다간 블로그 구독자 수가 팍 떨어질것 같으니... 좀 더 보기 쉽게 바꿔 봅시다.

게이밍 성능을 대변하는 가장 보편적인 숫자는 벤치마크 구간 내에서의 평균 프레임레이트일 것입니다.

어차피 프레임타임 값은 프레임레이트와 역수 관계에 있으니 엑셀을 사용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2115243D5477AE662BC2E4


엑셀을 실행하고, "데이터" 탭에서 위와 같이 선택합니다.


25088A3D5477AE662FDD5E


250A3D3D5477AE662F6575


그러면 위와 같은 대화상자가 뜨는데, 제가 고른 선택지와 같게 고르신 후 "마침"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모양을 얻습니다.


230CDE3D5477AE662ED4A5


평균 프레임레이트는 총 프레임수를 총 소요시간으로 나눠 구할 수 있습니다. 벤치마크 툴이 매 프레임마다 프레임타임 값을 기록했으니, 값들의 갯수가 총 프레임수가 되며 프레임타임 값의 총합이 총 소요시간이 됩니다. 단위를 "초"로 통일해야 하므로 밀리세컨드 단위인 프레임타임 총합을 1000으로 나눠, 위와 같이 함수를 입력해 주면 평균 프레임레이트가 구해집니다.


.

.

.

.

.


사실 훨씬 편한 방법이 있습니다.ㅋㅋ

해외 포럼에서 어느 친절한 분이 아래와 같은 웹페이지를 만들어 두었더군요.

(링크 : http://www.gpuandmore.com/benchmark_results.html)


2410AA3D5477AE662CD727


텍스트파일로 저장된 벤치마크 결과를 그대로 복사 -> 붙여넣기하면 멋진 그래프와 함께 결과를 출력해 줍니다.


아무튼. 이렇게 벤치마크를 할 수 있고... 이대로 글을 끝내긴 뭔가 섭섭하니 맛뵈기로 맨틀의 효능을 소개하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지포스 GTX 980, 라데온 R9 290X로 CPU를 달리해 가며 성능을 테스트해 본 결과입니다.

보시다시피 CPU 성능이 좋을 때에는 맨틀이 적용되더라도 라데온 R9 290X가 지포스 GTX 980을 따라잡을 수 없지만,

CPU 성능이 나쁜 경우에는 R9 290X가 GTX 980을 넉넉히 따라잡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맨틀이 CPU에 덜 의존적이란 뜻입니다.


210A063D5477AE662EEE6B


그럼, 이것으로 짤막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글쓴이 님의 최신글
  1. 2016-08-11 01:51 IT 소식 > 잘 키운 시게이트 하나 삼성 넷보다 낫다? : 사상 초유의 60TB SSD 소개 *7
  2. 2016-08-04 22:29 이야기 > 라데온 RX 470 엠바고가 풀렸습니다 + 향후 리뷰 계획 *5
  3. 2016-08-02 11:56 IT 소식 > 닌텐도 차기 콘솔 엔비디아 SoC 탑재설 : 테그라의 부활?
  4. 2016-08-02 03:00 이야기 > 냉동참치를 소개합니다 *11
  5. 2016-07-27 15:21 IT 소식 > AMD, 폴라리스 기반 전문가용 그래픽카드 발표 *1

Who's DGLee

profile

페북/drmolaByIYD

트위터/iyd_twit

팔로우 및 친추 환영합니다! :D

▼ 펼쳐 보기
Prev 네.. 1달동안 음료만 먹고 살아봤습니다 네.. 1달동안 음료만 먹고 살아봤습니다 2016.06.07by Nemesis 국내 도입이 시급한 미국의 풍습 Next 국내 도입이 시급한 미국의 풍습 2014.12.20by heorm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