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4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sandisk x400-1.jpg

 

Sandisk 에서 X300 후속 제품을 출시했다.

당시 출시할때만 해도 TLC SSD 제품이 삼성이 유일했었기에 성공에 대한 의문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후에 다른 제조사들도 속속 TLC 타입의 SSD가 출시가 되면서 가격적으로도 더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유야 어찌되었든 가격적인 이점이나 사용성이 좋아진 것이 사실이고 MLC 타입의 보급형 SSD 제품군들이 3년의 보증 기간을 약속한 것과는 다르게 5년의 보증기간을 제시하면서 만약에 있을 수명적인 부분을 잠재운듯 하다.

 

제가 X300 256GB SSD을 블로그에서 소개할 당시만 해도 생소하기는 했어요 ^^ 샌디스크의 두번째 TLC SSD X400 테스트 진행해 보겠습니다.

 

 

sandisk x400-2.jpg

 

 

128G 제품을 제외하고는 속도는 동일하다 낸드와 연결되는 채널 숫자에 따른 성능 차이일 것으로 생각이 된다. 타사와 다르게 5년 화끈하게 보증을 한다. 수명과 관련된 부분을 책임을 지겠다는 의미가 아닐까 한다.

기술적으로 상당한 자신감이 될것으로 생각이 든다. 기업 입장에서 보증 기간을 늘린다는 것은 판매이후에도 돌아올수 있는 재반비용이 높아지기에 자신이 없다면 진행하기 힘든 부분이기도 하다.  참고로 X 시리즈가 기업용 제품군으로 들어가는것 같습니다. 홈페이지에서도 기업용 제품으로 분류를 하고 있더군요

 

 

sandisk x400-3.jpg

 

무상 5년 SLC블럭 타입으로 별도 시스템 메모리를 활용하지 않으면서 SSD의 수명을 보증한다.  

 

 

sandisk x400-4.jpg

 

7mm 폼펙터 규격으로 대부분의 노트북에 설치가 가능하다. M.2 제품군을 사용하고 싶은 마음이 더 크네요

 

 

sandisk x400-5.jpg

 

ㅎㅎㅎ 개봉을 해버렸으니 이제 워런티는 포기해야겠군요 평생 사용해야 겠습니다. 하지만 드라이기로 샤샥 했으니 그냥 넘어갈지도 모르죠 하하하!!

 

sandisk x400-6.jpg

 

자 TLC 제품들이 특성 중에 하나이다. 제조사들마다 크기나 기술적으로 조금씩 차이가 있고 명칭은 틀리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TLC 낸드로 데이터를 넘기기 전에 SLC낸드에서 잠시 저장했다가 데이터를 넘기는 방식이다. 그래서 SLC블럭 크기만큼 데이터들이 실행을 할때는 속도와 내구성을 보증한다.

 

sandisk x400-7.jpg

 

마벨 컨트롤러와 마이크론 범퍼 샌디스크 TLC낸드 모듈이 들어간다.

 

sandisk x400-8.jpg

 

32GB 모듈 조합으로 해서 128GB 구성된 SSD이다.

 

sandisk x400-9.jpg

 

 

램 디스크 개념과도 비슷하다.....미리 설정된 SLC 공간에서의 빠른 속도와 내구성을 보증하기에 SSD 기준 속도보다도 빠르게 읽고 쓰기가 가능하다. 이 범퍼 크기가 어느정도인지 추정 테스트도 한번 해보기로 하겠다.

 

 

sandisk x400-10.jpg

 

X300과 X400에서 보여지는 차이점은 없다. 일부 저가형 MLC SSD 제품군중에서 저전력을 위한 Devsleep 기능이 없는 제품들이 대부분인만큼 그 점에서 본다면 X400이 조금은 더 오랫동안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된다.

 

 

sandisk x400-11.jpg

 

운영체제를 설치하지 않는 상태에서 성능 테스트 스펙에서 제시했었던 성능 그대로 나왔다. 90% 유지된 상태에서 일부 성능 하락은 있으면 큰 편은 아니다. TLC SSD 의 속도 타입을 그대로 보여준다. 확실히 범퍼 역할을 하다 보니 4k 쓰기속도에서 이점을 보인다.

 

 

sandisk x400-12.jpg
 

대부분의 파일 크기에서 용량에 따른 큰 편차는 보이지 않으나 8.0  구간에서는 오히려 성능이 더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전반적으로 성능 하락폭은 크지 않다.

양호하네요 X300이나 X400이나 큰 차이점을 모르겠어요 

 

sandisk x400-13.jpg 

 

as ssd 벤치..음....이 스코어사 제대로 맞지는 않는다. Read 테스트에서 엑세스 속도 벤치가 돌아가지 않는다. 시스템을 바꾸어서 테스트를 한번더 해보지요^^

 

sandisk x400-14.jpg 

 

운영체제가 미설치 상태에서의 복사 성능 테스트 대용량 파일을 이용해서 내부 복사 성능 테스트 2배수 하면은 200-250사이에서 총 대역폭이 발생한다고 생각된다.  

 

sandisk x400-15.jpg 

 

기본적인 성능 테스트를 했으니 시스템을 바꾸어서 H170 보드에서 윈도우10으로 마이그레이션 해서 테스트해보기로 했다.  

 

sandisk x400-16.jpg 

 

X110은 마이그레이션이라든지 무료 소프트웨어 사용을 못했는데 X300이나 X400은 사용이 가능하다. 자연스럽게 시스템을 이전하는 것으로 끝 

 

sandisk x400-17.jpg

 

운영체제 설치하고 리커버리 파티션 포함하면서 게임 1개 설치하고 나면 이렇다. ㅎㅎㅎ 역시 이제는 120기가 SSD는 게임만 설치할 수 있도록 전용 SSD로 남겨두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왠만한 대형 게임은들은 40기가 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에 부담이 갈 수 밖에 없다. 120기가대 제품군들에 대해서는! 

 

sandisk x400-18.jpg

 

성능 정리한번 해보겠습니다.

보급형 MLC SSD하고 성능이 비슷하다 점수등을 보았을때에도 그렇다면 MLC SSD 구입하라고 할수도 있다. 하지만 X400은 차별화를 두었다. 가격/ 보증기간 5년 실제 프로그램 로딩에서 이점을 보이는 실 성능적인 측면에서는 조금더 나은점을 보인다.

 

2월 말쯤에서 지금까지 테스트했었던 SSD 관련된 데이터를 취합해서 한번더 포스팅해보겠어요 ^^ 

 

sandisk x400-19.jpg
 

자 SLC 블럭의 대략적인 크기가 어느정도 될까 추정해본다면 2기가 정도가 아닐까 한다.

2기가 쓰기 속도가 넘어가면서 내부복사 테스트시에 급격한 성능 하락이 된다.(내부 복사 테스트임에도 단일 쓰기 성능의 속도 제공)  절반정도의 성능 하락!! 즉 2GB 정도의 초기 실행 파일을 가진 프로그램이나 게임이라면 고급형 SSD와 큰 차이없는 실행 속도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론상!!^^ 

 

 

 

실제로도 느리지 않았으니까요.....^^ 단 대용량 파일 복사할때는 어쩔수 없다. 마치 램캐쉬의 영역을 벗어난다고 하면 될까요!!

 

 

sandisk x400-20.jpg
 

자 정리해보겠습니다.

 

현재 X400 128GB 기준으로 850EVO와 동일한 가격이다. 보급형 TLC라기 보다는 고급형 TLC SSD 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보급형 MLC SSD 제품군 비교해서 5천원 이내에서 가격이 더 비싸다...쿠폰 사용하고 나면 거의 동일하게 보급형 MLC SSD 가격으로 구입가능하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유저들은 구입할 가치가 있을까?

 

850EVO 판매량이 다나와 순위 2위 정도 하고 있다면 어느정도 답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국내에서 브랜드 파워라는 측면에서 일반 유저들에게 어필하는 내용이 다를수는 있다. 그렇지만 보급형 MLC SSD보다는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보증기간 자체도 길기 때문에 일반 유저들 입장에서는 오히려 더 나은 선택이 아닐까 한다.

 

참고로 저는 X300 출시되고 나서 현재까지도 잘 사용하고 있지요 ^^....수명과 속도 TLC도 크게 무관합니다. 추후에 기회가 된다면 850EVO와의 비교 테스트도 번외편으로 한번더 소개해 보겠습니다.

 

참 그 고정관념이란것이 넘기가 힘들어요 TLC는 MLC보다도 안 좋다는...보안해주는 기술이 출시가 된만큼 올해에는 가격적으로나 인식이 바뀌지 않을까요^^

 

 

- 본 포스팅은 다나와 제조사로부터 물품을 무료로 제공 받아 작성 하였습니다. -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저장장치 리뷰안 880k MLC SSD & SK 하이닉스 칩으로 더 안전하고 빠르게~~ 2 arima 05.31 424
저장장치 에이블스토어 & ASUSTOR NAS & 씨게이트 NAS HDD 조합이라면! 1 arima 05.31 162
저장장치 씨게이트 복구서비스(SRS) 가 적용된 NAS 전용 하드디스크 비교 사용기 1 arima 05.31 432
저장장치 업계유일 하드복구서비스 씨게이트 SRS 서비스 가능성은 어디까지? 1 arima 05.31 756
저장장치 외장하드 추천 :: 동급대비 가성비 최고! '트랜센드 StoreJet 25H3' 1TB 외장하드 9 file JunghyeonHan 05.22 709
저장장치 asustor nas as5102t 헬륨하드 HGST 8TB Ultrastar He8 HUH728080ALE600 사용해 보았어요 3 arima 04.24 544
저장장치 제대로 활용해보자~! 삼성전자 Portable SSD T3 (250GB) 2 file 아담한이층집 04.19 609
저장장치 애플 인증 PQI iConnect mini 아이폰 용량 확장하는 방법 arima 04.08 496
저장장치 BX200 SSD 타사 TLC SSD 비교 및 모멘텀캐쉬의 게임 로딩 성능 2 arima 03.23 726
저장장치 [Phase-15] V-Nand Samsung 950 PRO M.2 NVMe SSD 512GB 벤치마크하다 1 file 강민건담 03.12 851
저장장치 활용처가 애매해진 MSATA SSD를 고속 USB로 활용하자! file 대발이 03.01 665
저장장치 Sandisk X400 TLC SSD가 제시하는 2016년 SSD 변화 arima 02.28 490
저장장치 [Phase-7] 새로운 브랜드 GeIL Zenith A3 PRO 게일 제니스 SSD를 접하다 file 강민건담 02.25 653
저장장치 엔터프라이즈 기업용 하드디스크 차별점 HGST 1TB Ultrastar A7K2000 HUA722010CLA330 arima 02.15 425
저장장치 [Phase-1] 플렉스터 SSD 256GB & 512GB Plextor M6V Series 사용후기 1 file 강민건담 02.08 681
저장장치 세계 최초 대용량 씨게이트 아카이브 8TB 하드디스크 Seagate Archive HDD 사용기 1 file 강민건담 01.18 833
저장장치 보급형 SSD 플렉스터 M6V SSD 256GB 리뷰 4 hybridneo 01.13 818
저장장치 초저가 가성비 SSD 추천 킹스톤 SSDNOW UV300 120GB file OCer 01.05 906
저장장치 도시바 Q300 240GB - 초보자들에게 적극 추천하는 SSD 1 file 케레인 12.08 882
저장장치 처음 써본 TLC SSD, 크루셜 BX200 480GB file OCer 12.03 89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CLOSE

SEARCH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