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조회 수 1875 추천 수 12 댓글 2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현재 국내에는 마이크로-스타 인터내셔널(MSI)의 아머 모델과 게이밍 X 모델이 들어와 있지만, 곧 타사 비레퍼런스 모델도 만나볼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유튜브의 AHOC 채널 (과 함께한 게이머즈 넥서스)의 1080Ti 파운더즈 에디션의 PCB 분석을 보면 다음과 같은 포인트를 알 수 있습니다.

 

  • 파스칼은 바이오스 상 최대 1.08-1.093V 의 VCORE 전압을 인가 가능하다. 
  • VCORE VRM 컨트롤러는 UPI의 uP9511p로 8페이즈 전원 컨트롤러이고, 초크 코일은 7개 이지만 드라이버 IC와 모스펫 숫자는 실제 8페이즈가 맞다. VRAM VRM 컨트롤러는 UPI의 uP1658 2페이즈 컨트롤러다.
  • VCORE 모스펫은 페어차일드의 FDPC8016S 듀얼 Low RDS(on) 모스펫으로 최대 800A 까지 전원을 인가 가능하다.
  • VRAM 모스펫은 알파 앤 오메가의 E6930 듀얼 Low RDS(on) 모스펫으로 최대 244A 까지 전원을 인가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하고 싶은 말은 레퍼런스 보드임에도 심각하게 오버킬인 전원부를 갖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VCORE에는 풀로드시 250A 정도 인가되고, VRAM에는 풀로드시 30A 정도 인가되는데 전원부는 이를 아득히 뛰어넘는 최대 전원 인가량을 갖고 있습니다.

 

파스칼은 맥스웰 세대와 다르게 바이오스에서 전압을 매우 타이트하게 컨트롤하는 터라 어차피 "2100MHz"의 클럭 장벽을 갖고 있습니다. 낼 수 있는 성능은 다들 거기서 거기에 가깝습니다.

 

이 말을 단 한마디로 정리하면, "쿨링 성능이 곧 비레퍼 성능이다" 라고 볼 수 있을 정도의 레퍼런스 PCB 퀄리티를 갖고 있다는 뜻입니다.

 

52929e60557debf76160c66b136cbeb4.png

 

더불어 PC Perspective의 전력 측정치(링크)를 보면 OC 시에도 최대 290-300W 정도의 전력이 사용됩니다. 이는 8+6핀 보조전원과 PCI-e에서 안전하게 끌어올 수 있는 권고치인 285W(8핀 150W, 6핀 75W, PCI-e 60W)를 넘는 양입니다. 따라서 전력 스로틀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생각해보면 더 넉넉한 8+8핀 전원을 사용해야 좀더 OC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론 8+8핀 지원되는 저렴한 비레퍼런스를 구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물론 전력소모가 300W 가까운 매우 따듯한 카드라 쿨링 퍼포먼스를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테크파워업의 에이수스 스트릭스 리뷰를 보면(링크) 각사 플래그십급의 GPU는 별 문제 없을 것으로 보이나 차후 Zotac AMP!나 MSI 아머의 리뷰를 보면 대충 어느정도의 방열 성능이 필요할지 짐작이 될 듯 합니다.

글쓴이 님의 최신글
  1. 2019-07-26 10:16 이야기 > 좀비랜드 2 예고편 *1
  2. 2019-07-11 01:51 이야기 > 결국 질렀습니다 *18
  3. 2019-07-08 12:25 이야기 > AMD 나비, 하와이의 재림. 그러나... *6
  4. 2019-07-08 10:41 이야기 > 라이젠 마티스는 지금 사기엔 이르단 생각입니다 *18
  5. 2019-07-04 18:54 이야기 > SUPER? 그다지 수퍼하지 않은 수퍼지만... *24

Who's 잼아저씨

profile
잼아저씨 (이재진)
하드웨어 빌런
Steam: Uncle JAM  Origin: unclejamj  Uplay: unclejamj  PSN: unclejamj
EPIC GAMES: unclejamj FB: 이재진, MNA대피소 관리자
 
 
▼ 펼쳐 보기
Atachment
첨부 '1'
  • profile
    Fluffy 2017.03.31 15:51

    같은 GPU 코어라도 세세하게 차이가 나는가 보네요.

     

    컴퓨터 부품 세계는 넘 어려워요.

  • profile
    잼아저씨 2017.03.31 15:55

    사실 가격이 차이가 나죠 ㅋㅋ;; 북미는 $699-749 안쪽에 대다수가 포진해 있어 큰 고민 없이 자기가 맘에 드는 것을 고를 수 있겠지만 우리나라는 보급형과 고급형 가격차가 좀 센 편이라 여러모로 고민해봐야 합니다.

  • profile
    아레스다 2017.03.31 16:09

    물량이... 없어요.... ㅠ_ㅜ

  • profile
    잼아저씨 2017.03.31 16:16
    아직 안 들어온 경우도 있고, 그냥 물량이 모자란 경우도 있는 거 같아요. 저도 구해야되는데 힘드네요 ㅠㅠ
  • profile
    Hollicforyou 2017.03.31 16:14
    물량도 없고 가격도...플스프로마냥 그렇게 되가는 상황같은데 상황좀 지켜봐야겠네요(아직1070이니 당장은 필요없지만요)
  • profile
    잼아저씨 2017.03.31 16:18
    그래도 유통줄이 하나인 소니보다야 상황이 낫지만 구할 시기에 대한 생각도 깊이 해봐야 겠죠. 여유 있으시다면 게임 쿠폰 프로모션 할 때 구매하시는 것도 생각해봄직 합니다.
  • profile
    Hollicforyou 2017.03.31 16:21
    1070 산지 몇달 안되었지만 80ti 성능만 보면..수입업자만 아니었어도 70 중고팔고 80ti가도 남는장사인데 뭘 그리 해먹겠다고 라데온때도 그러더만..GW 되는 회사들거면 배대지통해 직구하는게 나을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 profile
    잼아저씨 2017.03.31 16:33

    직구시에는 ($699-749MSRP+ 미국내 배송료 + 국제운송료)* 1.1(한국 부가세율) +  MSRP*미국 주세율 (델라웨어 등은 면세입니다.)하기 때문에 90만원을 초과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교묘하게 직구하기도 애매한 가격이죠.

  • profile
    촉수금지 2017.03.31 16:57
    직구시 90만원을 초과하면 무슨 문제가 있나요?? 200불 초과시는 관세가 붙는건 아는데 90만원에는 또 무슨 디메리트가 생기는건가요?
  • profile
    잼아저씨 2017.03.31 17:13

    아머 모델이 92만원에 풀렸었는데, 북미 뉴에그 가격은 $709 MSRP + 현지 배송료 $9.99입니다. 거기에 국제 배송료가 3파운드 기준 $13이니 과세표준은 $732 정도로 볼 수 있죠. 미국 매입환율 1137원에 따라 총 가격을 계산했을 때 가격은 91만 5천원입니다. 초도 A/S 포기하고 시간 기다리는 걸 생각한다면 되게 애매한 가격이란 뜻입니다.

  • profile
    촉수금지 2017.03.31 17:16
    아하.. 그렇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 profile
    Hollicforyou 2017.03.31 18:54
    여러가지로 본인들은 부인하겠지만 우리나라 수입사들 가격정책은 맘에 안듭니다 라데온은 정말 가격이 영 아니었어요 적어도 x던 프리미엄 소리 안듣고 싶으면 조금 이익을 덜 보더라도 적정가에 들여와도 될텐데 더군다나 Ti나오면서가격을 내린 70-80도 아직 가격 안내렸으면서 말이죠 전에는 울나라 가격땜에 일본서 사오거나 일마존 이용했던적도 종종 있었네요
  • profile
    잼아저씨 2017.03.31 19:14

    ??? 로직 = 안 팔린다 : 한놈만 걸려라, 잘 팔린다 : 다 같이 걸려라

    1070/80도 인하 해줘야 하는데 아직도 밍기적 거리는 건 진짜 나빴습니다.

  • profile
    Hollicforyou 2017.03.31 19:17
    으...웃으면 안되는데 ㅠ
  • profile
    D I E O X I N. 2017.03.31 17:30

    구매하려고 대기중인데 좋은팁이 될꺼같네요! 쿨링이라 ㅋ

  • profile
    잼아저씨 2017.03.31 19:16
    근래 2팬 쿨링이 거의 없어지고 3팬으로 이행하던데 아무래도 전성비 향상폭만큼 전력 투입량도 늘려간다는 뜻인 듯 합니다.
  • profile
    D I E O X I N. 2017.03.31 19:20

    요번엔 팬3개 이상으로 달린걸 사야겟네요. 그나저나 이번에 파워 750W로 바꿧는데 요걸로 버터야할텐데 ㅋㅋ

  • profile
    잼아저씨 2017.03.31 19:23
    슬라이 안 하시면 충분 할듯 합니다 ㅎㅎ. 개인적으로 3팬은 스트릭스가 가장 맘에 들었습니다.
  • profile
    repuien 2017.03.31 23:20

    900시리즈까진 닥 기가밧이였는데

    1080 스트릭스 사서 써보니까 디자인도 그렇고 정말 대만족이여서

    1080ti도 스트릭스 나오기만을 기다리는중이네용.

  • profile
    잼아저씨 2017.04.01 00:26

    https://www.techpowerup.com/reviews/ASUS/GTX_1080_Ti_Strix_OC/
    테크 파워업 리뷰 보면 요번에도 잘 뽑혔습니다. 1924-48MHz 로드시 33dbA/70도로 매우 준수합니다. 가격은 북미 기준 $719로 므시의 게이밍 X보다 저렴하고 기가바이트 어로스 기본 모델과 같은 가격입니다. 백플 RGB 눈뽕도 지원 되고, GPU 온도 기준 팬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4핀 PWM 팬 헤더 2개 및 RGB 컨트롤 헤더도 붙어있는지라 유니크한 메리트가 있습니다. 

     

    관건이 있다면 과연 100만원의 장벽을 언제 허무는 가겠죠. 90만원 초로 안정화 될 거 같긴 한데... 그래도 북미에 비하면 많이 비싸죠.

  • profile
    repuien 2017.04.01 01:33
    저는 북미지역에 있는지라 가격면에서는 걱정이 없네요 ㅎㅎ;
    1080ti 뉴애그에 입고되기만을 기다리는중입니다.. +ㅇ+;
  • profile
    잼아저씨 2017.04.01 10:31
    부럽습니다 북미 ㅎㅎ. 1080ti는 다만 품귀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거 같네요. 지금껏 엔비디아는 지포스 발매마다 쭉 완판 행진을 이어오는데 장사 잘합니다.
  • profile
    repuien 2017.04.01 12:05
    그러게요 매년 겪고있네요 ㅎㅎ;
    올해는 꼭 1차에 성공하기를 기원중입니다...ㅠㅠ;
    현실은 4~5차이겠지만...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게임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공지 ITCM <스팀그룹> 비공개 전환 안내 및 초대요청 2334 ITCM 08.24 114341 47
꿀팁 [운영자 인증] ITCM 꿀팁정보 모음 (2017/3/16) 33 코코넛먹자 08.05 116885 68
공지 ITCM 내부 규정 안내 71 file ZardLuck 02.05 96170 89
꿀팁 엔비디아 10번대의 숨겨진 꿀기능, Fast SYNC 32 file 잼아저씨 08.13 43800 19
질문 쉐도우 플레이 즉시 리플레이가 종종 말을 안듣네요. 2 Zaswedx 07.09 8848 2
꿀팁 그래픽카드를 PCB로 알아봅시다 12 file 잼아저씨 06.28 7158 14
잡담 GTX 1080/1070의 오버클럭 성능 10 file 잼아저씨 06.09 6857 10
잡담 GTX 1060은 역대급입니다 22 file 잼아저씨 09.02 6558 23
꿀팁 셰도우 플레이는 프레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21 file 잼아저씨 09.10 6135 11
잡담 프리싱크 몇가지 테스트 적용 후기 11 file rusiyan 01.18 5665 8
잡담 GTX 1060 3GB 모델에 대한 의견 18 file 잼아저씨 08.22 4135 15
잡담 엔비디아 이름의 의미 14 file 잼아저씨 10.08 3892 15
소개 (스압)GTX 1080 비 레퍼런스 모음 (Asus, Msi, Gigaby... 14 file 잼아저씨 05.28 3707 14
잡담 RTX 3000번대 글카 쓰시는분들 드라이버 버전 뭐 쓰시... 5 hongE 01.15 2845 1
꿀팁 GTX 1070의 비레퍼런스 버프를 알아봅시다 39 file 잼아저씨 09.06 2352 21
잡담 한 눈에 보는 1080Ti의 위상 34 file 잼아저씨 03.10 2255 19
잡담 가격오류 해프닝이었습니다. 22 file 한신 03.22 2107 8
질문 쉐도우플레이 녹화 중에 자꾸 렉?이 발생합니다. 4 아침 06.09 2018 0
잡담 컬러풀 gtx 1060 6G 특가행사 17 file 잼아저씨 09.03 1949 12
잡담 1080Ti 비레퍼런스 구매를 염두에 두신 분들께 드리는 팁 23 file 잼아저씨 03.31 1875 12
소개 엔비디아,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시 회원 가입 요구 5 RuTel 10.17 1850 6
잡담 SUPER? 그다지 수퍼하지 않은 수퍼지만... 24 file 잼아저씨 07.04 1748 15
잡담 1070 파이어스트라이크 점수 유출 및 소소한 생각 18 file 잼아저씨 05.25 1747 11
소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끝판왕 발표 26 file 잼아저씨 02.06 1740 13
잡담 엔비디아 3000번대 (70, 80) 예상외로 가격 인하해서 ... 12 캐너디안귤 09.02 1723 6
소개 (펌) 디지털파운드리 GTX 1060 3GB 리뷰: VRAM은 충분... 5 RuTel 08.29 1671 5
소개 nvidia - 튜링(TURING) 그래픽카드 공개 14 file algalon 08.21 1611 7
잡담 GTX 1070 파운더즈 에디션의 원가절감 10 file 잼아저씨 06.09 1545 8
잡담 엔비디아 타이탄 XP는 컷칩이 맞군요 15 file 잼아저씨 08.08 1480 13
잡담 msi 슈프림(3000) 시리즈 이슈가 있나봐요. 11 부들맨 11.27 1433 3
질문 지싱크/ 프리싱크에 대한 굉장히 기초적 일수도 있는 ... 6 게임은안하고스팀만 11.26 1398 2
잡담 GTX1070 매각하고 550Ti로 다운그레이드 했습니다. 12 융일세 10.21 1374 6
잡담 새로운 GTX1060의 가능성 8 file 잼아저씨 12.06 1351 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Next
/ 5
CLOSE

SEARCH

CLOSE